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1. CT·암치료·비파괴검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파장이 큰 X선보다 투과력이 세다. 적절한 파장대를 선택(전자의 가속에너지로
조절
) 우리 몸에 X선을 쪼이고(보통 1백kV의 X선) 맞은 편에 필름을 놓는다면 뼈를 통과하는 X선과 일반조직을 통과하는 X선은 그 양이 다르다. 그 결과 필름에 검은색의 뼈사진이 명암 차이로 드러나게 된다.X선 사진은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중추가 시상하부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쥐의 뇌를 절단하는 실험으로 수면
조절
중추가 시교차상핵 부위에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러나 생체시계의 정확한 존재 부위는 밝히지 못 했다.1967년 리히터(Richter)는 뇌의 부분을 파괴하거나 여러가지 내분비선을 제거하는 동물실험을 통해 ... ...
지구과학- 돋보기 2개로 만드는 굴절망원경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들고 멀리 있는 물체를 봅시다. 뻗었다, 오므렸다 하면서 눈과 돋보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
해 보세요. 그러다 보면 멀리 있는 물체가 작고 또렷하게 돋보기 렌즈 안에 맺히는 위치가 있습니다. 돋보기가 멀리 있는 물체에서 오는 빛을 모아주기 때문에 거꾸로 보이기는 하지만 렌즈없이 볼 때보다는 ... ...
큐닉스, 컬러 잉크젯 프린터 '큐씨네칼라' 내놔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용도에 따라 컬러 인쇄 품질을 달리해 사용할 수 있어 출력속도와 잉크 소모량 등을
조절
할 수 있다. 미세한 중간 정도의 사진 이미지나 OHP 필름용인 최고품위, 720×360 dpi의 고품위 등과 함께 기본, 고속의 4가지 모드가 제공된다.지원되는 서체는 한글서체 7종 한자 1종 영문 11종 등 19종이며 이들 ... ...
2 반도체 산업 세계 최대-기술자립이 숙제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한국에서는 반도체 제조장비를 생산하지 못하니까 이 장비들의 공급시기와 양을
조절
해 한국업체를 견제할 수 있다는 것. "아직은 고의적으로 납기를 늦추는 장난은 하지 않고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시급히 국내 인력 키워야이런 저런 정황을 놓고 보면 한국 ... ...
암연구의 메카 미국 국립암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있다. NCI는 이들을 심사해서 연구비를 지원함으로써 암연구의 방향 및 우선순위들을
조절
하고 있다.NCI 자체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를 살펴보면 이렇다. 첫째로 암에 관한 기초의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암의 원인 규명을 위해 바이러스 및 화학물질 등 발암원에 의한 발암과정을 ... ...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동력에너지의 1백배 이상을 가진 거대한 열에너지 저장고가 된다. 문제는 그 에너지를
조절
할 수 있는 꼭지를 다는 것이다."무거운 별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모의실험했는데 연구자들은 1초에 수백만개의 계산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강력한 컴퓨터를 사용했다. 그들은 ${10}^{-6}$초 동안에 일어나는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첫째로 암세포는 하나의 정상세포에서 유래하며(clonality) 둘째로 정상적인 생체의
조절
기능에서 벗어나 제멋대로 성장하며(autonomy) 셋째로 암 발생 조직의 세포는 정상적인 세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며(anaplasia) 넷째로 궁극적으로는 다른 조직으로 침범하는 이른바 전이를 일으킨다(metastasis).이와 ... ...
태아 뇌세포 이식수술 효능 밝혀져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그러나 5-10년이 흐르면 약은 그 효능을 잃게 된다. 이때부터가 문제이다. 방광의
조절
능력도 없어지고 혈압도 불규칙적으로 오르내린다.그래서 몇년 전부터 학자들은 유산된 태아의 뇌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을 시도하고 있다.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옮겨진 태아의 뇌세포가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이를 토대로 약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물질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현재 이 내성
조절
물질을 이용,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뤄져 일부에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다.암의 정체가 완전히 밝혀져 이를 근원적으로 치료하는 획기적인 방법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우리가 알고 있는 암치료의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