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진면목을 만나보자.2001년 12월 대덕연구단지 내 기초과학연구원에서는 한국의 인공
태양
K스타를 건설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월드컵축구장 크기인 K스타 건설 부지에는 1995년부터 산업체, 대학, 연구소의 10개 기관에서 연 인원 3백명이 투입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우리 전통 과학기술의 상징인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2등급이나 더 밝은 것이다. 베스타가 이처럼 밝은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소행성에 비해
태양
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고, 표면이 다른 소행성보다 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이다.올해 베스타가 가장 잘 보이는 때는 10월부터 내년 1월 사이다. 11월 28일
태양
-지구-베스타 순으로 일렬로 위치한다.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온실효과가 사라져 현재보다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와, 대기는 있지만 화산재로 인해
태양
빛의 반사율이 높아져 현재보다 기온이 낮아진 경우 가운데 어느 쪽이 더 온도가 낮은지를 어떻게 추정한단 말인가. 더구나 그 화산재의 양이 ‘최근 10년간 분출된 양’이라니. 출제자는 모종의 근거를 갖고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함께 어울려 빛나는 7월에서 8월까지의 가장 더운 기간을 ‘개의 날’이라 불렀는데,
태양
빛과 시리우스 별빛이 겹쳐서 더욱 더워진다고 생각했다.게자리는 겨울의 막바지에 떠올라 곧 봄이 올 것을 미리 알려주는 별자리다. 한쪽편의 다리들이 없는 게인데, 우연히 신화 속에서 헤라클레스의 발에 ... ...
무한대 청정에너지 공급하는 인공
태양
핵융합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태양
이 50억년 동안 빛나는 원천이 바로 핵융합 에너지다. 핵융합 반응은 원료가 풍부하고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유해한 방사능이 적어 발전소 폐쇄 50년 후 ...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주요나라에서 최첨단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1세기 인공
태양
의 진면목을 만나보자 ...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별의 에너지원을 밝히려는 연구에서 시작됐다. 1920년대 말 애트킨스와 호우터만스는
태양
의 에너지가 열 핵융합 반응에 의해 생성될 것이라고 제안했고 10년 후에 이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다. 1934년 러더퍼드가 이끄는 연구진이 영국 케임브리지 캐번디시연구소에서 두개의 중수소가 융합돼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inertial confinement)은
태양
이 핵융합 반응 조건을 유지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이것은
태양
의 중력이 제공하는 고온·고압의 상태를 작용·반작용과 관성을 이용해 얻는 방법이다. 큰 출력의 레이저나 고에너지 입자빔을 이용해 구슬 형태의 연료 표면을 균일하게 가열한다. 짧은 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 ...
태양
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천왕성을 발견한 허셜은
태양
계가 우리은하의 중앙에 있는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우리
태양
계는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약 3만광년 떨어진 곳에서 약 2억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호에서는 우리은하에 대해 알아보자.★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1) 은하수의 굵기는 계절에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유성우는 왜 33년마다 특이한 행보를 보이는 것일까? 템펠-터틀 혜성이 약 33년에 한번씩
태양
에 접근하는 일과 연관된다. 이때마다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들이 혜성의 궤도상에 흩뿌려지는데, 이것이 바로 사자자리 대유성우의 원인이 된다.유성우의 예측은 대단히 어렵다. 가까운 예로 지난 199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혜성은
태양
계 생성 초기의 상태를 고스란히 가진 원시 ‘화석’으로 중요한 천체다. 딥스페이스 1호가 혜성 탐사에 역사적 지평을 열었지만 본격적인 혜성 탐사는 이제부터 시작이다.딥스페이스 1호에 이어 혜성에 접근해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