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타고난 지능 만들어지는 지능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되고, ‘동물도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이는 두명의
전문가
를 만날 수 있다. 기계의 지능 파트에서는 튜링검사와 인공지능, 인간과 컴퓨터가 펼치는 두뇌게임, 그리고 뇌에 옷을 입힌 소형컴퓨터 등에 대해 논한다.마지막 외계생물의 지능 파트에서는 지적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사람들이 지켜보고 귀기울이기를 원하지, 많은 사람들이 죽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보안
전문가
의 기존 통념을 깼다. 납치된 항공기의 인질이 테러리스트에게 어떤 동질감을 느낄 여지도 남기지 않은채(실제 인질이 인질범의 인간적 행동에 감화돼 인질범의 편을 드는 심리 현상인 ‘스톡홀름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태풍이 파업을 하니까 대신 토네이도가 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
들은 이럴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기상청 유명렬 분석과장은 “태풍은 아주 큰 스케일의 기후현상이고, 용오름은 그보다 훨씬 규모가 작아 태풍이 없었던 것이 용오름의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 ...
② 비행기 한대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어떻게 지어야 할까. 건물을 이번 테러와 유사한 공격에 견딜 수 있게 설계할 수 있을까.
전문가
들은 세계무역센터 건물이 무너진 이유가 화재로 인해 철골구조가 약해진 때문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그렇다면 바닥과 벽에 이전보다 화재에 강한 소재를 사용할 경우 화재가 번지는 속도가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재량으로 실시하도록 했다. 즉 학생생활기록부에 IQ를 적는 난이 사라진 것.그러나 많은
전문가
들은 현재의 IQ검사가 문제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혀 쓸모가 없다는 것은 지나친 억측이라고 주장한다.심리학자들은 사람에게는 보편적인 인지능력이 있다고 보고 이를 g로 표시한다. 새로운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과정에서 선택하면 전분야를 알지는 못하지만 전문 분야에서 깊이 있게 연구할 수 있다.
전문가
들은 환경보전기술 연구가 기존의 학문과 달리 여러 분야가 접목되는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아무래도 학부 때 자신의 분야를 전공한 후 대학원에서 선택하는 길을 추천해준다. 환경보전기술의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동아 사이언스와 동아일보 문화센터가 주최하는 중∙고교 과학교사를 위한‘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SK의 후원으로 4년만에 재개됐다. 과학동아는 지난 7월30일 ... 덧붙였다. 이번 탐사의 지도교수였던 이병천 박사는“교사들이 식물의 한분야에서
전문가
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1. 2학기 수시모집 어떻게 준비하나 -정답 외우기보다 기본원리에 충실하라입시
전문가
들은 1학기처럼 2학기 수시에서도 심층면접으로 당락이 뒤바뀌는 사태가 속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순한 교과서식 암기 지식이 아니라 여러 과학분야에 대한 통합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핵폭탄 제조법에 대한 기밀문서가 담긴 금고를 불과 10분만에 열어버린 금고털이
전문가
이기도 하다. 원자폭탄 실험의 성공을 축하하면서 봉고라는 악기를 두드리고, 히로시마가 원자폭탄으로 아수라장이 됐을 때 뉴욕의 레스토랑에서 핵폭탄의 폭파반경을 계산하며 행복해한 엽기적인 ... ...
미국 인간 배아줄기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제한적이나마 정부 지원을 결정한데 주목하고 있다.21일 이상희 의원(한나라당)이 주최한
전문가
회의에서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는 “부시의 결정은 한꺼번에 완벽한 연구 가이드라인을 만들지 않고 일정한 제한을 둔 상태에서 연구를 허용한 다음 앞으로 지금 문제가 되는 부분이 해결되면 다시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