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학
산수
위상수학
위상
초등수학
초등
mathematics
d라이브러리
"
수학
"(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토뉴스] 바다 생태계 균형
수학
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생태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에 이러한
수학
적인 힘이 보태진다면 조금이라도 더 지속 가능한 균형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4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
수학
뉴스]
수학
으로 밝힌 신약 개발의 걸림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있다고 주장했습니다.김 교수는 “이번 성과를 통해 국내에서는 아직 부족한 의약학과
수학
의 교류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시스템 생물학’ 7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기록이 연속적이고, 표현 방법이 일관돼 긴 기간을 분석하는 게 가능했던 것입니다.
수학
적으로 완벽한 태양의 흑점 주기 240년사실 태양이 240년 주기로 활동한다는 주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유럽의 한 학자가 중국의 옛 문헌을 토대로 주장했지만, 신빙성이 없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요. 양 ... ...
휴양지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사실을 알게 됐어요. 꼬인 띠에는 면과 모서리가 한 개씩 밖에 없다는 것을요! 얼른 다른
수학
자에게 알려야 한다는 생각에 부리나케 이 새로운 도형의 성질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잠깐 제가 발견한 도형을 볼래요?뫼비우스의 띠는 길게 자른 종이 띠의 한쪽 끝을 180° 돌린 뒤, 양 끝을 붙이면 쉽게 ... ...
[교육뉴스]
수학
에서 실수? 배경지식의 함정에 빠져서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연구원은 “사람들의 배경지식이나 일반 상식이
수학
적 추론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수학
교육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심리작용학회보‘ 6월 28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동아리 이름이 ‘
수학
천재(Genius Of Math)’라길래
수학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모여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거나 연구 활동을 할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은 거의 ...
수학
교사), 허석(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
교사), 황선미(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수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과연 최종 승자는 누구일까? 마방진을 푸는 한 방법인 ‘직교라틴방진’을 연구한 두
수학
자 최석정과 오일러의 대결이 시작됐다! 마방진 고수를 가리기 위한 대결은 오각형 마방진 문제인 오일러 프로젝트 68번으로 치르기로 했다. 68번 문제는 예시인 삼각형 마방진처럼 오각형 모양의 ... ...
[
수학
뉴스]
수학
으로 게임 랙 극복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반응하는 시간에 따라 장애물을 통과하는 성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뒤 이렇게 구한 성공률과 장애물 사이 간격의 관계를 분석해 랙이 걸리지 않았을 때와 성공률이 비슷해지도록 조정했죠.연구를 이끈 이병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게임의 흐름을 ... ...
[
수학
뉴스] 한국 대표팀, IMO 3위! 참가자 6명 모두 금메달 획득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얻어 4위에 올랐습니다.한국 대표팀 조영준 군은 42점 만점을 받는 최고의 성적을 거뒀고,
수학
동아 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서 활약한 김홍녕 군도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금메달을 땄습니다. 특히 6개의 문제 중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6번 문제도 4명이 만점을 받았습니다. 6명의 대표 전원이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대부분 서양의 천문학이 동양보다 월등히 앞서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리 선조의 기록을 보면 서양보다 훨씬 앞선 것이 많습니다. 또 현대 천문학자가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병자리 변광성의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