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킹앤카_제26화 오랜만에 만나도 즐겁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오늘은 KAIST와 포스텍의 학술교류세미나가 열리는 날이다. 방학이라 만나기 힘들었던 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은 세미나 참석차 간만에 모일 약속을 잡았다. 약속 시간보다 먼저 도착한 준용이는 스마트폰 게임을 하며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다. 한 스마트폰 게임 캐릭터의 능력치는 공격력과 공격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어떤 모습인가요? 각자가 만나고 싶은 공룡과의 공존을 자유롭게 상상해 보세요~!도움 및 사진 : 최덕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 이융남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박진영 (‘대중을 위한 고생물학 자문단’ 독립연구원), 이상희 (UC리버사이드대학교 인류학과 교수),Global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을 앞둔 어느 날, 아주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지사탐 대원으로 활동하던 두 팀이 ‘제2회 국립생태원 생태·환경 동아리 탐구발표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거예요. 그 주인공은 바로 ‘내 친구 봄이’팀과 ‘발자국’팀! 두 팀은 힘을 합쳐 ‘프로비’라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꾸룩새 연구소는 집 앞 창고를 개조해 만들었다고 해요. 연구소에는 제비의 일생을 담은 사진 전시물과 새의 깃털, *펠릿, 작은 동물들의 뼈 등이 전시돼 있었지요.“전 어릴 때부터 새를 좋아해 조류학자를 꿈꿨어요. 그래서 늘 작은 수첩을 들고다니며 새를 관찰했지요. 고등학교 때는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노인네’ 쯤으로 여겼다. 하지만 그가 8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뒤, 집주인이었던 사진작가 네이선 레너는 다거의 방에 들어갔다가 큰 충격을 받았다. 1만5145쪽에 달하는 소설과, 수백 장의 삽화가 집안을 가득 채우고 있었던 것이다.반세기 이상 세상과 단절하고 살았던 망자의 방은 불운했던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새우나 게가 파먹은 흔적입니다. 가족들이 이런 상처를 보면 당연히 뭐냐고 물어보죠.” 사진 속 시체는 입술이 군데군데 푹 파여 있었고 귓불이 톱으로 자른 듯 불규칙하게 뜯겨있었다. 수중생물은 연한 부위를 좋아한다. 사람의 몸에서 가장 연한 부위는 눈. 한 시체는 아이스크림 숟갈로 떠낸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터뷰 전날 있었던 북한의 핵실험 발표 때문인지 황용석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바빠 보였다. “저는 핵융합 전공인데, 다들 핵분열 반응에 대해 묻네요. 핵폭탄의 이미지가 너무 강하다 보니 핵공학이라고 하면 다들 위험하다고 먼저 생각하는 것이 조금 안타깝습니다.” 취재에 동행한 기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눈을 속이는 착시 설계자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사진 제공 및 도움 : 커트 베너, 데이비드 맥도날드, 이스트반 오로스, 레온키어, 코키치 수기하라, 파올로 디 라짜로참고 문헌 : 티파니 잉글리스의 논문 ‘Constructing Drawings of Impossible Figures with xo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뭐라고 답하셨나요? 서울대 통계학과 학생 37명은 배우 신민아가 노트북을 들고 있는 사진을 보고 같은 설문에 응했습니다. 단, 신민아가 배우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조사에 응하라는 조건이 붙었습니다. 그 결과 26명이 ‘전문직 여성이고, 미혼일 것이다’에 투표했습니다. ‘가정주부일 ...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화려한 색채로 묘한 매력을 뽐내는 작품이 사실은 다항식의 근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라면 믿기십니까? 마치 거장의 추상 미술 같은 이 작품은 바흐만 카탄타리 미국 뉴저지주립대 교수가 개발한 그래프 그리는 방법으로 탄생한 다항식 그래프입니다. 대체 어떻게 다항식이 예술작품으로 변했는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