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구성되었다. 해커들은 업로드가 되자마자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편집했다. 정훈의 내부에는 정훈과 함께 긴 시간을 살아 낸 하얀 눈썹의 유미가 틀어박혔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정훈과 유미는 데이터 속에서 충돌하지 않고 하나로 위치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통합된 데이터로 정훈과 유미는 우주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전통적인 로봇보다 상용화가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다.상용화 막는 요소 잘 드러내지 않는 게 문제요컨대 위 논문은 로봇공학의 연구개발 방법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물꼬를 튼 것이다. 2006년 애벌레 로봇을 개발해 소프트로봇 분야를 연 미국 터프츠대 생물학과 베리트림머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19일, 검찰은 LTMI가 분석한 과정을 신뢰하기 어렵다면서 미인도가 진품이 맞다는 결론을 내렸다. 명암을 대조한 표준편차값을 구하는 방식이나 눈동자 흰자위의 두께가 진품끼리는 서로 비슷하다는 전제가 타당한지 의문이 있으며, LTMI에서 사용한 계산식을 따라해 보면 진품인 ‘테레사 수녀’도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일본의 옛 전통이 살아 숨쉬는 교토의 매력도 한몫 하는 것 같아요. CiRA는 교토 시내인 산조, 시조 지역과 도보로 15~20분 거리입니다. 또 걸어서 5분 거리엔 교토의 젖줄인 카모가와 강이 있어서, 봄이 되면 강가에서 점심 도시락을 먹으며 만개한 벚꽃을 즐길 수 있다고 합니다. 홈페이지 www.cira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현대의학의 머리 위에서 노는 뛰어난 생존 전략가’라고 혀를 내두른다.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매년 널리 퍼지면서 수많은 사람을 꾸준히 감염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백신마저 피해가는 인플루엔자만의 비법도 있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일어난다고 가정하면 이종 간 전염 양상도 연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이 국내 데이터를 이용해 인플루엔자 확산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인플루엔자가 변화무쌍한 만큼 각 나라의 기후나 계절, 인구, 숙주가 될 수 있는 동물 종과 개체 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한 ... ...
- 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80살이군. 저기 보이는 해면동물은 무려 1만 1000살이라고!그걸 어떻게 아냐고? 지금부터 내가 그 비밀을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경계신호를 내는 행동도 마찬가지다. “이번에는 내가 경계음을 내마, 다음에는 네가 내 다오” 식으로 새들이 한 종류의 도움을 주고받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기각된다.요약하자. 트리버스는 비친족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과거에 나를 도와준 이만 도와주고 나를 배신한 이는 도와주지 않는 조건적인 ... ...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적분! 어디선가 한 번쯤은 들어봤지요? 워낙 쓰이는 분야가 많기 때문이에요. 우주선도, 내 주머니 속 스마트폰도 미분과 적분이 없었으면 만들기 힘들었을 거예요.미분은 움직이는 물체의 순간적인 변화를 구하는 법이에요. 자동차가 어느 순간에 어떤 속도로 움직이는지 알고 싶다면 미분을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높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작년 10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개인인증 시스템을 도입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나눠야 사는 과학 21세기 공유과학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Part 2.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