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김용성 박사는 “환경 변화로 인한 메틸화는 염기서열을 바꾸지 않더라도 유전자의
기능
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전혀 새로운 생물학의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한다.아마도 먼 미래에는 아이의 유전적 성향을‘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임신 중에 꼭 먹어야할 식단표가 만들어질지도 모른다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시판되고 있다. 그러면 미래의 휴대폰은 어떤 형태가 될까. 휴대폰 하나에 웬만한 PC의
기능
이 모두 들어있게 될 것이다. 주머니에서 보통 펜보다 조금 길어보이는 펜을 꺼내 한쪽을 살짝 누른다. 그러면 펜이 두루마리처럼 활짝 펴져 노트만한 크기의 화면이 된다. 현재 휴대폰의 부피가 7-8년 전보다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판명됐고, 이 중 1백98개(61%)의 난자가 정상적인 세포질을 가진 것으로 판명됐다. 이
기능
적으로 정상적인 난자를 대상으로 세포질 내에 정자를 직접 주입하는 방식으로 수정을 시도했다. 그 결과 난자의 수정률은 71.7%(1백42/1백98)였다. 이 배아를 총 28명의 환자에게 이식했더니 모두 6명이 임신에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프리온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일반적인 단백질은 3차원 구조가 변형되면 대부분
기능
을 상실한다. 그러나 프리온은 구조가 변형되면 주변에 있던 정상 프리온도 자신과 같은 형태로 변형시킨다. 즉 바이러스처럼 스스로를 복제하는 것이다. 이렇게 변형된 프리온은 뇌세포를 파괴해 인간에게는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제거된다면 어떻게 될까.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온에서도 피가 끓어 순환
기능
이 마비돼 생명을 유지하기가 어렵다.자연에서도 이런 대기압 환경보다 기체 분자 수가 적은 상태, 즉 진공 상태를 찾아볼 수 있다. 문어의 빨판 내부는 1백torr 정도의 진공 상태다. 갓난아이들은 입안을 7백4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피할 수 있다. 하지만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의 경우는 어쩔 수 없었다. 난소
기능
이 파괴된 환자는 여성호르몬 부족으로 인한 갱년기 증상에 시달려야 했다.연구팀은 지난해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된 환자의 난소를 떼어내 영하 1백96℃에 냉동보관했다. 난소는 정자나 난자에 비해 매우 큰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 결과는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한 정자의 DNA가 작은 온도 변화로 인해 제
기능
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나아가 온도 상승에 의한 불임의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다.정자는 왜 작은 온도 변화에도 변성되거나 생존하기 어려웠을까? 이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아마도 세포예정사에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참조).하나의 세포 속에는 수만가지의 단백질이 있다. 이 속에서 어떤 단백질이 무슨
기능
을 하는지를 밝힌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김 교수는 인간사회에서 세포나 분자수준의 세계에 대한 힌트를 얻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인간사회의 변혁기에는 핵심인물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들의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구조됐다. 근육질이었던 그는 구조 당시 팔다리 근육이 미라처럼 말라붙었고 눈과 귀의
기능
을 거의 잃었다. 입은 바짝 말라 말하지도 먹지도 못하는 발광 직전의 상태였다. 구조 후 입으로 물을 흘려줘 소생된 그는 하루가 지나서야 말을 하고 3일 후에야 다시 보고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어쨌든 21세기 초반에 신경과학의 발달로 인해 기억과 관련된 뇌의 구조가 밝혀지고 기억
기능
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이 파악될 터이므로 나노기술로 기억력을 회복시킬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만도 없을 것 같다.특히 ‘엑스트로피 인스티튜트’(Extropy Institute)의 과학자들은 인체 냉동보존술의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