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9,24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넛의 여왕 '안질리나 도나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6
만약 폭탄을 찾아내지 못하면 회의장은 아수라장이 되고, 업새블라는 도넛 발명을 방
해
하러 가게 된다.문제 31번 도넛부터 도넛의 조각 단면 모양을잘 보고 끼워 맞춰 보자. 안질리나 도나스의 도넛 파티썰렁홈즈 덕분에 도넛 폭탄의 폭발을 막을 수 있었다. 감격한 안질리나 도나스는 사람들에게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
수학동아
l
201106
중이에요. 선수에게 더 공정한 점수를 주려고 올 시즌에는 점프의 회전부족을 더 세분화
해
평가하고, 기본 점수도 수정했어요. 쇼트 프로그램의 과제도 하나 줄였고요. 앞으로도 계속 보완될 거예요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06
실험을 할 때 실험대상자가 측정용 모자를 쓰는데, 센서가 머리 표면에 착 달라붙어야
해
머리의 모양이나 크기에 영향을 많이 받아요. 실험에 몰두하다 보니 길을 걷다가도 앞사람의 뒤통수만 보면 뇌파 측정이 잘될지 안 될지를 상상하게 돼요. 직업병이 생긴 셈이죠.”연구팀의 김원섭 박사는 ... ...
올
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
수학동아
l
201106
한편 중등부 2차 시험에 대
해
서 KMO 위원회 관계자는“2차 시험에 대
해
서는 아직 정
해
진 것이 없다”며“기출문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1차 시험과 같이 KMO만의 특성이 나타나게끔 출제될 것”이라고 밝혔다. tip●2011년 KMO 중등부 1차 시험 문제, 풀이와 정답은 수학동아 홈페이지(math.dongascience ...
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6
발견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가족 미라다. 가족관계를 중요시
해
무덤도 최대한 가까운 곳에 만드는 문화 때문이다. 한국미라는 죽어서도 가족을 잊지 못하는 걸까. [고려대 의대 병리과 김한겸 교수팀은 영상의학과 용환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다채널컴퓨터단층촬영 (MD-CT)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06
말했다.한국의 회곽묘 문화는 어디서 왔을까. 과연 회곽묘는 1500년의 시간을 넘어
해
안가 문화를 따라 한국으로 넘어온 중국 점토묘의 변형일까. 아니면 주자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였을까. 조선시대 우리네 조상들의 타임캡슐인 미라는 여전히 그 신비로움을 감춘 채 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만들 수 있다. 소양강 댐의 1.56배로 인구 20만 명 정도의 중소도시의 한
해
전기 사용량에
해
당한다.마지막으로 발전기가 설치된 지하로 내려갔다. 발전기 자체는 이미 물에 잠겨 있어서 볼 수 없지만 발전기의 규모를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는 곳이었다. 생각보다 거대한 지하 공간이 펼쳐져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6
전체)가 주로 음전하인 전자와 양전하인 양성자로 이뤄져 있다는 걸 우연으로 생각
해
야 할 것입니다. 주로 양전자와 음전하 양성자(반양성자)로 이뤄진 다른 별들이 있을 가능성도 있으니까요. 사실 별들이 절반씩 각각의 종류로 이뤄져 있을지도 모릅니다 ... ...
해
석기하를 통한 창의적 연구
과학동아
l
201106
공부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수학 공부를 오래
해
야 이런 방식을 어느 정도 이
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좌표 같은 수학의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마지막 말 또한 높이 평가할 만하다. 벡터 공간을 고안한 물리학자의 아이디어도 이러한 탐구활동에서 출발한 게 아닐까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06
않는 입자를 찾아 우주 저편 ‘암흑의 핵심’을 응시하고 있다.[➊ 암흑물질을 찾기 위
해
다양한 연구 그룹이 활동 중이다. 아래는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의 ‘엑시온 태양망원경(CAST).’][➋ 최근 윔프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주장한 코겐트(CoGeNT) 텀의 검출 시료인 결정 게르마늄.]▼관련기사를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