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스페셜
"
기준
"(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부 "인천 수돗물 사태원인은 무리한 관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수질변화에 대한 확인계획은 수립하지 않았으며, 공급되던 물의 탁도가 0.6NTU로 수질
기준
인 0.5NTU를 초과했으나 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 평상시 공촌정수장에서 영종지역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때는 자연유하방식을 택했으나 이번 수계전화시에는 역방향으로 공급했다. 조사반은 이를 ... ...
폐질환 원인 찾을 길잡이 ‘인간 폐세포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부어오르고 점액이 과다분비해 기침과 호흡 곤란 등을 일으키는 폐 질환이다. 2015년
기준
전 세계에 3억 5000만 명이나 환자가 있을 만큼 흔하지만 아직 완벽한 치료법이 없어 평생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과 천식 환자의 비강(콧속 공간)에서 기관지, 폐에 이르기까지 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사용하고 있다. 파리6대학 제공 1미터의 정의는 1983년 다시 갱신된다. 이번에는 광속을
기준
으로 정의가 바뀌었다. 빛은 진공 속에서 초속 약 30만 킬로미터, 즉 약 3억 미터 진행한다. 정확한 값은 299,792,458미터이다. 그러니까 1미터는 빛이 진공 속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로 정의할 수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개발하고 있는 의사나 공학자들은 “의료로봇을 상용화하려면 인허가와 수가에 대한
기준
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규정만으로는 성능이 뛰어난 의료로봇을 개발하고도 고가의 비용 문제로 활용하지 못할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9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병원에서 ... ...
WHO "데이팅앱 때문에 성병 확산 위험 커"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2017년 약1000억원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WHO는 지난 6일(현지시간) 2016년
기준
전세계 15세에서 49세 남녀 3억7600만건의 성병이 발생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매일 100만건 이상 성병이 발생하며 전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 25명 중 1명이 성병을 앓고 있는 셈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 ... ...
화이자 관절염 치료제 치매 예방 효과 은폐 의혹 두고 과학계 공방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못해 알츠하이머 예방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효과에 관한 의학적 통계도 과학적
기준
을 충족하지는 못했다며 임상시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해 연구를 접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역시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추가 연구를 결정하지 ... ...
친환경 ‘생분해성’ 용기의 역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7.6μg의 환경호르몬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환경청(EPA)이 제정한 먹는 물
기준
검출 권고치의 최대 1000배 수준이다. 미 워싱턴주는 이번 연구 결과를 참고해 2022년 1월 1일부터 모든 종이 용기에서 과불화화합물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최 연구원은 “과불화화합물은 ... ...
[과학게시판] 전기연, 일본 전력 연구자 초청 협력방안 모색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체결했다. GLP는 의약품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실시하는 동물 대상 독성시험의 신뢰성 보증
기준
을 뜻한다. 양 기관은 GLP 기술협력과 함께 방사선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방사선피폭 선량평가 연구와 유전독성 연구 협력도 추진하기로 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 소재부품의 손상과 부식 ... ...
열선 틀면 전자파 많이 나온다…안전
기준
에는 부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소형 이동통신중계기와 같은 생활공간의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인체보호
기준
대비 1~2%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이 위치한 뒷좌석에 전자파 발생량이 높을 것이란 우려가 있었지만 조사 결과 전자파 발생량이 특별히 뒷좌석에서는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 ...
호우 단위가 IoT 만났더니…계란의 신선도 실시간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평가하는 ‘호우 단위(Haugh Unit)’를 사용했다. 호우 단위는 국제적으로 이용되는 평가
기준
으로 계란의 무게와 흰자의 높이를 측정해 일정 산식에 따라 산출한 값이다. 호우 단위가 높은 계란은 흰자가 볼록하고 결착력이 좋다. 계란을 깨뜨렸을 때 퍼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연구팀은 "현재 예측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