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뉴스
"
저널
"(으)로 총 3,045건 검색되었습니다.
37억 광년 우주 폭발 관측, “만약 지구 근처에서 터졌으면?”
동아닷컴
l
2013.11.27
우주망원경으로 역대 최대 규모·최대 밝기 초대형 우주폭발 현상을 관측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최신호에 담았다. 지구에서 약 37억 광년 우주 폭발 관측은 최대 수 분 동안 지속되는 우주에서 가장 격렬한 폭발현상으로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는 태양이 평생 분출하는 에너지보다 큰 ... ...
소행성이 ‘혜성 꼬리’를 내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6
데이비드 휴이트 교수의 말이다. 휴이트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 11월 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 소행성은 하와이에 있는 팬스타즈(Pan-STARRS)라는 서베이 망원경으로 관측해 특이하게 흐릿한 천체라는 사실이 처음 발견됐다. 지난 9월 10일에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 ...
뇌 속 무슨 일이 생기는지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신경세포 내 염소이온 농도에 따른 클로멜레온 작용.- KIST 제공 ‘카멜레온’ 같이 시시각각 신경세포의 색을 변화시켜 시냅스의 움직임을 눈으로 ... 염소이온의 농도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분야 권위지 ‘
저널
오브뉴로사이언스’ 10월호에 실렸다 ... ...
전력 없어도 구부리면 빛나는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11.20
미케노 발광 현상을 나타낸 이미지. 물질의 형태가 바뀌면 빛이 나는 자연 현상을 뜻한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세상에는 깨지거나 형태가 변하면서 ...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재료공학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저널
20일자 표지논문으로 뽑혔다. ... ...
혜성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Knight)와 케빈 월쉬(Kevin Walsh)라는 미국의 천문학자들이 저명한 학술지인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레터스(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실은 논문에는 이런 내용이 나온다. 아이손 혜성처럼 지름 약 200미터인 혜성이 해의 반지름의 2.7배까지 해에 다가가는 경우, 이 혜성이 해의 조석력에 의해 깨지기 ... ...
환자를 위한 제약사?NO!..."제약사에게 불리한 결과는 숨겨"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실패한 임상시험 결과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 영국 의학
저널
(British Medical Journal) 29일자에 공개했다. ClinicalTrials.gov는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산하 미국국립약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임상시험 결과를 등록하는 곳이다. 환자와 가족은 물론 의사와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② 네이처
동아사이언스
l
2013.10.25
월평균 방문자 700만 명을 자랑한다. 바로 ‘네이처’다. 사이언스와 함께 과학
저널
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는 네이처는 2012년 영향력지수(IF) 38.597을 기록하며 다분야 과학 학술지 중 1위를 차지했다. 과학의 전 분야를 다루는 주간 잡지인 네이처는 1869년 태양 코로나에서 헬륨을 발견한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노벨상 수상 연사 4人
동아일보
l
2013.10.21
로버츠 박사는 1977년 아데노바이러스-2 DNA가 인트론과 엑손 부분으로 이루어졌음을 과학
저널
‘셀’에 발표했다. RNA에서 2개의 ‘분할유전자’를 발견한 것이다. 이 업적을 인정받아 16년 뒤인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로버츠 박사는 1972년 무렵 수많은 미생물로부터 새로운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화합물)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측정법을 개발했다. 이 측정법을 담은 논문은 2009년 과학
저널
네이처에 실렸다. 이 논문은 심사위원들로부터 “새로운 연구주제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조 교수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10년에는 ‘경암 학술상’을, 그 이듬해에는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연구활동에만 매진 환경마련… ‘과학명문’으로 거듭난다
동아일보
l
2013.10.21
점수를 평가할 때엔 기존 관행보다 최대 300점까지 점수 폭을 늘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저널
에 실린 논문에 대해서는 확실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연구자들이 호봉승급을 위한 의무적 논문 제출에 구애 받지 않게 하기 위해 남는 점수는 추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한 것도 눈에 띈다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