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d라이브러리
"
현상
"(으)로 총 7,707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표면의 흠집과 얼룩 사이에 금가루가 끼어 도금이 잘 되지 않았어요. 반도체도 마찬가지
현상
이 생기기 때문에 먼지가 없는 클린룸(clean room)에서 만듭니다. 내일은 실제로 클린룸을 방문해 반도체 장비를 직접 다뤄보도록 합시다.”김 교수의 얘기가 끝나자 학생들은 ‘와∼’하며 다시 환호성을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초전도 자석을 절대 온도에 가깝게 냉각시키는 것에서부터 이 온도를 유지하며 여러
현상
들을 제어하는 기술까지 한두 번 실험해서는 얻을 수 없는 노하우들이 많다”며 “KSTAR를 가진 것만으로도 ITER 공동 연구에서 한국은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앞으로 2019년이 되면 ITER가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TV 보는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아침에 TV를 켤 때마다 TV 소리의 크기가 매우 작아져 있는
현상
을 관찰했습니다. 이 문제를 발견한 뒤 하루동안 TV가 있는 방의 한쪽 편에서 시간대별로 가족들에 의해 TV 소리 크기가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봅니다. 그렇게 관찰하고 시간대별로 꾸준히 기록하며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고, 지구과학계에서는 지구과학자라고 주장한다. 미안한 말이지만 교육학계에서 이런
현상
이 심했다. 결국 케플러의 법칙이 물리2와 지구과학2에 함께 들어갔는데 물리학에서는 케플러의 법칙이란 이름을 못쓰고 다른 이름으로 나갔다. 융합형 과학 교과서를 만들 때도 자기 과목 지키기가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시간이 모자랐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뇌에서 뉴런만으로는 해석이 ‘2%’ 부족한
현상
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제서야 과학자들은 신경교세포에 주목하기 시작했다.신경교세포는 3가지 종류가 있다. 돌기교세포(올리고덴드로사이트), 별교세포(아스트로사이트), 미세교세포(마이크로글리아)가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정을 유전자의 전달과 변화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통신과 신소재 : 자연
현상
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여러 가지 형태로 인식하는 방법과 정보의 처리 과정을 이해한다.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의 기본 구조와 특히 반도체 원리를 배운다.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 이 단원에서는 과학 연구를 ... ...
책 읽는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덕분에 외국에서 수학을 활용한 금융이 크게 발전하는 것이 좋은 예지요.수학은 자연
현상
을 이해하는 학문일 뿐 아니라 인간의 정신을 훈련시켜 삶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학문입니다. 문제를 잘 푸는 게 수학의 전부가 아니라는 말이지요.저희 센터는 기본적인 교육을 하는 것은 물론 자신이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일치해요. 화산과 지진 모두 지각이 약하고,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움직이면서 생기는
현상
이기 때문이죠.화산대와 지진대가 모두 걸쳐 있는 일본에서는 지금도 하루에 한 번씩 지진 관련 소식이 들릴 만큼 많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어요. 특히 1995년 1월 17일 일본 효고현의 고베시에서 일어났던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냐”고 반문한다. 그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늘고 해수면의 높이가 올라가는 것은
현상
일 뿐 그것이 온실기체에 의한 뚜렷한 증거는 아니라고 설명한다(빙하기 이후 해수면은 매년 수 밀리미터씩 높아져왔다). 또 지구온난화가 매우 과장됐으며 이를 옹호하는 사람들조차 고비의 순간이라는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불가피해졌다. 2001년에는 태양에서 나오는 전자중성미자가 타우중성미자로 바뀌는
현상
을 발견했다. 세 종류의 중성미자가 서로 바뀌는 비율을 ‘중성미자 변환상수’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뮤온중성미자와 타우중성미자 사이의 변환상수, 전자중성미자와 타우중성미자 사이의 변환상수가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