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자들의 전쟁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되긴 했지만 우리나라 같았으면 외설시비의 도마에 오를 소지가 없지 않은 이
책
에서, 베이커는 1980년대 후반에 영국에서 태어난 어린애의 4%가 정자 경쟁을 통해 임신된 것으로 추정했다. 25명에 한명 꼴의 아이가 그들 어머니의 생식기안에 들어와 있는 다른 사내의 정자를 친부의 정자가 물리친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2년 동안의 투병 생활은 헛되이 끝나고 말았다.|칼 세이건의 주요 저서*국내에서 번역된
책
임●우주 속의 생명(1966년), 쉬클로프스키 공저●우주커넥션(1973년)●에덴의 용*(1977년)●지구의 속삭임-보이저호의 우주여행 기록(1977년), 편저●브로카의 뇌(1979년)●코스모스*(1980년)●혜성*(1985년), 앤 ... ...
개그맨 전유성 여전히 초보인 인터넷 도사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이 때문에 그는 아주 수월하게 신천지를 들락거릴 수 있게됐다. 결국 그가 이번에 내놓은
책
은 온전한 그의 작품이라기 보다는 그를 가르킨 도사 스승들의 것이라 봐도 크게 틀리지 않을 듯 싶다.한가지에 몰두하는 성격인 그는 사이버스페이스에 첫 발을 들여놓은 이후 한동안 그 바쁜 스케줄을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되돌아본다.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도 대부분 세이건을 단지 ‘코스모스’라는
책
의 저자 정도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건 아니다. 세이건은 실력있는 천문학자이자 훌륭한 지도자였다. 그의 연구목적은 생명의 기원에 관한 수수께끼를 우주적인 관점에서 풀고,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증명하는 ...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기술되어 있다. ‘마이크로 하우스’를 읽어 본 독자라면 ‘마이크로코스모스’가 이
책
의 ‘자연’편임을 간파할 것이다. 만약 자신의 주변에는 징그러운 곤충들과 박테리아들이 보이지 않는다고 안심하고 있는 친구가 있다면 반드시 권해야 할 도서다.이렇듯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미시세계는 ... ...
수능·서울대 수석합격 서준호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않는다. 1시간반-2시간 정도 공부하다 잠깐 쉬는 것이 몸에 익었다.“3-4시간 억지로
책
상에 앉아있기 보다는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을 자기 스스로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자신의 리듬을 지키는 것이 키포인트라는 뜻이다. 수면시간도 마찬가지. 그의 수면시간은 6시간. ‘4시간 자면 ... ...
겨울철 도깨비,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유리가 자석으로부터 밀리는 비밀을 알아보자.정전기는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답니다.
책
받침을 이용해 가벼운 종이 조각을 들어 올리는 것은 해 보았겠죠? 평범한 플라스틱 막대를 이용하면 통나무를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접촉해서는 안되죠. 이제부터 우리도 차력사가 되어 봅시다. 그리고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곳으로 다니엘 커크우드가 ... ...
인터넷에서 만나는 초과학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대해 주로 연구한 미국피라미드학회가 만든 사이트. 회원 팔이지은 '대피라미드'라는
책
의 전문이 올려져 있다. 대피라미드의 구조에 대한 대수학적, 기하학적 해석과 함께 대피라미드가 인류에게 주는 의미와 경고를 나름대로 해석했다.피라미드연구논문 (http://www.aloha.net/~hawmth/pyr.htm)대피라미드의 ... ...
환생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Codex Leicester)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남긴 유일한 필사본이다. 72쪽밖에 안되지만 이
책
에는 그의 사상이 생생하게 남겨져 있다. 과학자로서만 아니라 예술가와 사상가로서 그가 남긴 업적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인터넷으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만나보자.미국 자연사 박물관은 어떤 곳?(www.amnh.org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