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실험
으로 입증했습니다.로젠탈 교수는 원래 심리학
실험
으로 학생들에게 쥐 미로 찾기
실험
을 시켰습니다. 그 결과, 학생들이 정성을 다해 돌본 쥐는 미로를 잘 나온 반면 소홀히 다룬 쥐는 미로를 잘 나오지 못했지요. 이를 토대로 그는 ‘교육현장도 비슷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못했죠. 인공피부를 예로 들자면, 저희는 전자소자를 개발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임상
실험
을 진행하기는 어렵죠. 우리 연구실에도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모여있습니다. 하나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선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야 합니다.Q 전공을 고민 중인 학생들에게 조언을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하이드가 자신이 좋아하는 여인 루시마저 공격하자 지킬은 큰 충격에 빠진다.하이드가
실험
에 반대했던 이사진을 하나둘 제거하면서 상황은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자신이 하이드를 멈출 수 없다는 걸 깨달은 지킬은 루시에게 어서 런던을 떠나라는 편지를 보내는데….보물섬 작가가 ... ...
[과학뉴스] 말라리아, O형 앞에선 꼼짝 못해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된다. 그런데 연구팀은 RIFIN 단백질이 유독 O형 적혈구에는 잘 달라붙지 않는다는 사실을
실험
을 통해 밝혀냈다. 웰그렌 교수는 “나이지리아의 인구 절반 이상이 O형인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말라리아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하필 16개로만 만들어야 하는지 기자가 묻자, 조 건축사는 이렇게 답했다.“16개는 제가
실험
을 통해 찾은 개수입니다. 16개보다 넘치면 기능에 비해 디자인이 너무 현란해지고, 16개보다 부족하면 연필을 제대로 꽂기 어려웠어요. 찰흙을 이용하면 무엇이든 아이들이 상상하는 모습 그대로 만들 수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뛰어나기 때문에 겨울철 섬유로 가장 사랑받고 있어요.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실험
한 결과, 털을 데우고 한 시간이 지났을 때 83% 이상 온도가 유지됐답니다. 그 비결은 표면에 빽빽하게 늘어선 작고 예리한 비늘이에요. 털이 서로 얽히기 쉽기 때문에 안쪽에 많은 공기를 품을 수 있거든요. 이런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연구팀은 현실에서는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직접 만질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실험
때보다 정확하게 3차원 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시각장애인은 고차원적 상상력이 더 뛰어나레프 폰트랴긴도 일반 사람도 상상하기 힘든 고차원적인 공간을 연구했다. 이에 대해서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개미가 나오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재밌는
실험
을 했다. 일명 ‘춤추는 물방울’. 투명한 슬라이드 위에서 물방울이 서로 술래잡기를 하듯 서로 따라다닌다. 아무런 외부 자극이 없는데도 말이다. 물방울 속에 섞인 유기물인 프로필렌글라이콜이 이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연구원이 맡고 있다.워크숍에서는 한국 과학자들이 국내에서 쓰고 있는 시료 채취 및
실험
기법을 타위리 연구원에게 전해주는 시간도 있었다. 현지 연구원이 야생동물에서 직접 샘플을 채취해 한국으로 보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워크숍에 참석한 사이먼 음두마 탄자니아 야생동물연구소장은 ... ...
[수학뉴스] 수의 크기를 아는 병아리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실험
에 참여한 동물들이 왼쪽 시야에 집중해서 그쪽의 수부터 인식한 것일 수도 있고,
실험
전에 미리 훈련을 받았을 수도 있지요. 그래서 이 동물들이 선천적으로 수에 대한 개념이 정말 있는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답니다. 어때요, 작고 어리다고 우리 병아리들을 무시하면 안 되겠죠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