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필요한 열량이다.예를 들어 20℃의 물을 마신 사람이 37℃의 땀을 배출했다고 가정해
보자
. 만일 땀이 전혀 증발하지 않고 그냥 흘러내린다면 1g당 17cal의 열이 나갈 뿐이다. 반면 땀이 모두 증발한다면 6백cal 정도를 빼앗아가므로 냉각효과가 30배 이상 크다. 이를 잘 보여주는 실험이 있다.프랑스의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다 덮는데 걸리는 시간은 10개월이나 된다.지구 반지름이 6천3백70km라는 사실을 상기해
보자
. 지구 주위의 대기는 종잇장처럼 덮여 있을 뿐이고 지구 밖은 광막한 진공이다. 우주는 진공의 바다에 별들이 점점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한편 별과 별 사이, 그리고 은하와 은하 사이는 거의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통해 이뤄질 것이다. 그러므로 성이 유전자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먼저 살펴
보자
.성은 1차적으로 정소나 난소와 같은 생식소에 의해, 2차적으로는 생식소에서 나온 호르몬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정소에서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나와 부정소, 정관, 부속선(정낭, 전립선, 쿠퍼선), 음경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표면의 대협곡이나 높은 산 등은 표면에 어두운 흐릿한 부분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초
보자
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연한 특징이다.화성이 흥미를 끄는 가장 큰 이유는 대기의 다양한 변화에 있다. 화성의 대기는 지구의 1백분의 1 정도에 불과하지만 그 변화가 매우 심해 흥미를 끈다.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진공기술이 다른 분야와 어울렸을 때 일상생활의 모습은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 상상해
보자
.두루마리 화면과 극소형 로봇내시경 실현무겁고 투박한 모양이었던 과거의 휴대폰과는 달리 현재의 휴대폰은 손바닥보다 작고 수첩보다 얇다. 게다가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다운받으며 위치를 파악할 수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양이의 동공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떠올려
보자
. 동그랗지 않고 길쭉하다. 동그란 모양보다는 길쭉한 모양이 크기를 변화시키는데 훨씬 효율적이다. 따라서 동공 자체가 수직으로 긴 모양이다.환경따라 진화한 눈하지만 야행성 동물 모두가 주간시력보다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산개성단이다. 올여름 야외로 캠핑을 나가면 남쪽하늘 은하수에 묻혀있는 이 보석을 찾아
보자
.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7월 새벽녘 가장 밝아지는 ‘이상한 별’7월 새벽녘 고래자리가 떠오르면 옛날사람들이 이상한 별로 간주했던 미라를 볼 수 있다. 미라는 밝기가 변하는 별이다. 옛날사람들은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전진기지가 건설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 우주센터를 미리 만나
보자
.북한 대포동 쇼크로 앞당겨져우리나라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에 따르면 외나로도에 건설되는 우주센터에서 2005년까지 인공위성을 실은 국내 최초의 우주발사체를 발사하도록 돼있다. 1996년 처음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스톰의 특수효과가 과장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재난영화의 본질로 돌아가
보자
. 재난영화의 가장 큰 재미는 타워 링의 예에서처럼 이웃집 불구경이다. 그런데 이웃집 불이 일곱가지 찬란한 레이저 빛으로 타오른다면? 현실감은 사라지고 영화의 긴장감은 퇴색될 수밖에 없다.또 하나!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내는 서브우퍼가 있다. 거대한 행성이 폭발하는 장면이나 탱크가 지나가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 이때 낮지만 크게 울리는 소리가 들리는데 바로 이것이 서브우퍼의 효과다. 저음은 고음에 비해 파장이 길어 비교적 멀리까지 나간다. 따라서 앞쪽에만 서브우퍼가 있어도 저음은 객석 뒤쪽에 앉은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