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다르다. 얼음 바닥을 양손으로 쳐서 속력을 높인다. 머리나 어깨의 무게중심을 변화시켜
방향
을 튼다.탄소 소재로 제작된 루지에는 핸들이나 조종대가 없고 선수는 가죽 고삐를 당기고 다리로 누르면서 썰매를 조종한다. 썰매의 무게는 1인승은 23㎏, 2인승은 27㎏ 이내여야 한다. 속도가 매우 빠르고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서쪽으로 다소 이동한 것. 이 때문에 중태평양의 덥고 습한 공기가 한반도 서남쪽
방향
에서 불어 들어왔다.한편 기상청은 “1월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계속 받아 추운 날이 계속됐지만 2월에는 북쪽으로 물러나고 대신 중앙태평양 엘니뇨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때 발뒤꿈치 부 분은 신축성 있게 늘어나며 발이 받는 압력을 줄인 다. 당기는 힘의
방향
이 옷감의 날실 또는 씨실 방 향과 사선을 이루기 때문이다. 발을 들었을 땐 당기는 힘이 사라지므로 버선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면서 발을 갸름하고 탄력 있게 감싸준다.그 밖에도 우리 옷에는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충분해. 한 가지 귀띔해 주자면, 여행중에 길을 잃어도 괜찮아. 차분히 길만 따라서 한쪽
방향
으로 걸으면 어떻게든 제자리로 다시 돌아올 수 있으니까.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뫼비우스보다 내가 먼저야! 독일의 수학자 리스팅은 1840년에 ‘위상학’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리스팅은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서로 다른 도형이지만 전개도의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서로 같아. 직사각형 세로변의
방향
만 다르지. 한 번 꼬아 붙인 뫼비우스 띠의 테두리 개수는 1개야. 그에 따라 면의 개수도 1개지. 그래서 앞면과 뒷면의 구분이 없어진 거야. 뫼비우스 띠의 면이 하나라는 것은 각각의 띠에 색을 입혀 보면 쉽게 ... ...
나타났다 사라지는 마술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지나면, 한
방향
으로 진동하는 빛만 남게되는 거랍니다.자, 그럼 두 편광 필름을 서로
방향
이 어긋나게 겹치면 어떻게 될까요? 하나의 편광 필름을 통과해서 한쪽으로만 진동하는 빛이 두 번째 편광 필름에 막혀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거예요. 그러면 우리 눈에 어둡게 보이지요호기심 해결입체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찾아 볼래? 3 네 개의 원판에 고리가 걸려 있어. A판이 시계
방향
으로 돌 때, C판은 어느
방향
으로 돌까? 4 길이가 20cm인 띠로 180° 만큼 두번 꼰 종이를 만들었어. 이 위를 무당벌레가 기어서 처음 위치로 돌아온다면 무당벌레가 돌고 온 총 거리는 얼마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방법 중 하나가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을 왼쪽으로 휘게 만드는 거야. 경기가 반시계
방향
즉 왼쪽으로 계속 돈다는 것에서 생각해 냈지. 날은 곡선 구간과 비슷한 정도로 휘어져 있어. 또한 날의 가운데는 앞뒤보다 5~6mm 튀어나와 옆에서 보면 볼록하게 만들었어. 이렇게 스케이트날을 휘거나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끝난 뒤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융합과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
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국가핵심연구센터(NCRC) 박영준 협의회장(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은 “융합부분 연구 과제는 지원 기간이 더 길어야 하며 후속 연구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재승 KAIST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反動形成) 근심거리 또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충동을 통제하기 위해 그 반대
방향
의 성향을 과장해서 보이는 일종의 방어 메커니즘이다. 반동형성이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감정이나 충동은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 속에 남아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상반되는 두 가지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