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끝난 뒤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융합과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
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국가핵심연구센터(NCRC) 박영준 협의회장(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은 “융합부분 연구 과제는 지원 기간이 더 길어야 하며 후속 연구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재승 KAIST ... ...
보고 만지면 저절로 빠져드는 촉각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개발하는 데 가장 중점을 둬야 하는 부분은 장치의 안정성이다. 촉각 재현 장치는 양
방향
으로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불안정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장비에 물리적인 손상이 올 수 있다. 연구센터의 김영미 박사는 “시스템 사이에서 드나들거나 소모되는 에너지 차이를 분석해 ... ...
What is Aurora?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각각의 커튼처럼 보이는 오로라는 수많은 평형 입자선으로 구성되며, 그 지역의 자기장
방향
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사실은 오로라가 지구의 자기장 때문에 형성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충분해. 한 가지 귀띔해 주자면, 여행중에 길을 잃어도 괜찮아. 차분히 길만 따라서 한쪽
방향
으로 걸으면 어떻게든 제자리로 다시 돌아올 수 있으니까.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뫼비우스보다 내가 먼저야! 독일의 수학자 리스팅은 1840년에 ‘위상학’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리스팅은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박물관에 비밀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방향
으로 이동하면서 장애물이나 벽에 부딪칠 때만
방향
을 바꿔 움직이면 되겠어. 3번만
방향
을 바꾸면 무사히 상자에 닿을 수 있겠는걸. 시작해 볼까.”뤼팽은 코사노스트라 일당의 눈을 피해 재빠르게 상자를 들고 나온다. 4 뜻밖의 선물그 시각, 지도를 따라 박물관 비밀통로에 간 허풍 일행은 ... ...
나타났다 사라지는 마술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지나면, 한
방향
으로 진동하는 빛만 남게되는 거랍니다.자, 그럼 두 편광 필름을 서로
방향
이 어긋나게 겹치면 어떻게 될까요? 하나의 편광 필름을 통과해서 한쪽으로만 진동하는 빛이 두 번째 편광 필름에 막혀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거예요. 그러면 우리 눈에 어둡게 보이지요호기심 해결입체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서쪽으로 다소 이동한 것. 이 때문에 중태평양의 덥고 습한 공기가 한반도 서남쪽
방향
에서 불어 들어왔다.한편 기상청은 “1월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계속 받아 추운 날이 계속됐지만 2월에는 북쪽으로 물러나고 대신 중앙태평양 엘니뇨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反動形成) 근심거리 또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충동을 통제하기 위해 그 반대
방향
의 성향을 과장해서 보이는 일종의 방어 메커니즘이다. 반동형성이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감정이나 충동은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 속에 남아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상반되는 두 가지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구슬형 고흡수성 고분자에 적당한 물과 아로마 오일을 흡수시키면 우리도 쉽게
방향
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구슬형 고흡수성 고분자를 물에 넣어 부풀게 하면, 물에 의해 원래 크기보다 훨씬 더 커지기 때문에 물이 분자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래서 과 같은 재미있는 현상이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서로 다른 도형이지만 전개도의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서로 같아. 직사각형 세로변의
방향
만 다르지. 한 번 꼬아 붙인 뫼비우스 띠의 테두리 개수는 1개야. 그에 따라 면의 개수도 1개지. 그래서 앞면과 뒷면의 구분이 없어진 거야. 뫼비우스 띠의 면이 하나라는 것은 각각의 띠에 색을 입혀 보면 쉽게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