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는 현대의 기술문명은 수많은 과학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다져진 기초연구의
바탕
위에 피어난 꽃이라고 할 수 있다. 단백질연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그 기초연구의 중요성은 모두에게 깊이 인식돼야 한다. 기초연구의 뒷받침 없이는 고도의 기술능력을 갖출 수 없다. 요컨대 기초를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연관과는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의 일본이 이른바 모방문화를
바탕
으로 유럽과학에 필적하는 과학문화를 쌓아올린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과학사가(科學史家) 버날은 그의 저서 '역사에 있어서의 과학'속에서 과학의 현대적 성격을 다음의 다섯가지로 특징짓고 있다.첫째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자기학이라는 물리학 분야의 발전이 학문성립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양자론에
바탕
둔 전자공학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성숙해온 근대공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생산의 직접적인 요구 해결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성립 배경으로도 알 수 있듯이 생산기술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로서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활약할 예정이다.지능형 제3세대 로봇시대를 홀로 맞고 있는 일본은 그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
으로 세계의 어느 국가도 감히 꿈꾸지 못했던 '로봇이민'을 추진하는 등 로봇의 해외진출에도 눈길을 돌리고 있다. 로봇이민이란 로봇으로 운영되는 무인공장을 아시아나 유럽에 건설해놓고 일본에서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거의 불가능한 일처럼 보인다.두번째는 MIT 학생들에 관한 것이다. MIT의 대표색깔-회색
바탕
의 암적색-은 콘크리트 바닥에 흘린 코피에 비유된다. "MIT학생은 아마도 이 세상에서 가장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일 것입니다."어떤 업체에서 파견나와 있는 직원의 말이다.이때 나는 속으로 다음과 같이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현대를 과학기술사회라고 한다. 그만큼 과학기술자의 역할이 중요한 때다. 저임금을
바탕
으로 단순 조립 기술에 의존했던 우리나라도 이제는 고급기술인력에 의한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해 국제경쟁에 나서야 할 때다.세계적인 대발명이라 해서 모두 산업화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실 수준과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키)는 80~90㎝, 몸무게는 59~82㎏, 털색깔은 암갈색 또는 진한 암적갈색이다. 또 황회색
바탕
에 검은색 반점이 난 놈도 있다. 귀는 줄무늬 하이에나보다 작지만 머리는 크다. 등쪽의 갈기 털은 없다.하이에나는 오랫동안 힘이 센 동물이 남긴 찌꺼기만 먹는 동물로 간주돼 왔다. 실제로 사자가 먹이를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지식을 동원하여 우주와 인간의 차 모습이 무엇인가를 지속적으로 찾아나가고 이를
바탕
으로 새로운 세계관과 가치를 창출해내는 작업이 이 시대에 요청되는 가장 긴요한 과제임을 앞으로 과학자가 되려는 젊은 세대들은 깊이 인식해야 한다.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좁은 의미의 과학 학습에만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목도 여럿 개설돼 있다. 예컨대 수학Ⅲ 과학사 컴퓨터과학 등이다. 교재도 외국원서를
바탕
으로 과학고측이 재구성한 고난도의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개발한 SMSG수학 PSSC물리 BSCS생물 ESCP지구과학 교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이렇게 특수한 교육을 거친 과학고학생들은 KAIST학사과정 입시와 각종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연구주제가 대부분 이론적인 것에 치우쳐있다. 실험실습을 제대로 못익히는 우리 교육이
바탕
에서 유학을 떠나는데다 대인 접촉이 큰 실험쪽은 의사소통에 불편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풀이된다. 어쨌든 이론위주의 전공자들은 산업현장의 요구에 쉽게 부응하지 못한다는게 중평이다. 지금까지의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