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것이죠.달 주위에 타원을 그리다“그럼 포탄의 진로는 쌍곡선도 포물선도 아니고,
끝
없이 이어지는 무서운 곡선도 아니겠군?”“그래. 열린 곡선이 아니라 닫힌 곡선이지.”“그건 어떤 곡선인가?”“타원이야. 포탄은 우주 공간으로 사라지지 않고 달 주위에서 타원형 궤도를 그리게 될 것 같아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생겨 생산되는 전기의 양이 불규칙한 2차적인 문제가 나타났다”고 말했다.취재가
끝
날 때쯤 발전소에 근무하는 주병곤 선장의 배를 타고 발전소 주변을 둘러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거센 조류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망설임 없이 올라탔다. 물살은 정말 살아 있는 생물처럼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베이스로 한 칵테일이다. 럼(rum)은 사탕수수 즙을 발효시켜 증류한 술이다. ‘오늘은
끝
가지 사탕수수로 가보자.’칵테일을 가져오는 종업원에게 이 술을 마시면 정말 화가 나느냐고 묻자 “그렇다”며 활짝 웃는다. 새콤달콤한 칵테일의 맛 속에 들쩍지근한 사탕수수 냄새가 배어 있다. 문득 중간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물리학과 교수를 했던 필자의 이력을 부끄럽게 하지 않는다. 또 책의 각 페이지
끝
에 필자의 직장이었거나 강연 요청을 받아 방문했던 세계 유수의 천문학 연구기관들을 소개하고 개인적인 인연과 인상을 전해주고 있는데, 천문학자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는 가슴을 뛰게 하는 자극이 될 것이다.●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학자는 다방면으로 배우기 때문에 본성을 잃는다. 학문이란 원래 근본은 하나였는데, 그
끝
에 와서 이 같이 달라지고 말았다. 그러므로 하나인 근본으로 되돌아가면 얻는 것도 잃는 것도 없다’고 생각하시고 그렇지 못한 현실을 안타까워하시는 것이라네.” 어떤 일을 하는데 갈림길에 또 갈림길이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집어넣어 발현시키기로 했다. 다만 문제는 유전자가 옮겨진 세포의 막 표면에 섬모
끝
에 달렸던 것처럼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위치하게 끌고 오는 일이었다. 박 교수의 연구팀은 망막 표면에 있는 광(光) 감각 수용체인 로돕신을 이용했다. 후각수용체에는 신호서열이 존재하지 않아 다른 세포로 옮겨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오르간은 건반을 누를 때 바람이 들어가는 느낌이 전해진다”며 “전자오르간 건반
끝
에는 자석을 붙여 건반을 누를 때 밸브가 열리며 공기가 지나가는 느낌이 들도록 만든다”고 설명했다. 태어난 지 2000년 이상이나 지난 오르간과 300살 된 그의 손자 피아노는 아름다운 음색과 풍부한 음량으로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표면이 어떻게 생겼냐를 관찰하는 기기라면, 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시스템은 탐침
끝
부분과 원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해 원자가 가진 특성을 분석한다. 탐침은 주로 텅스텐이나 탄소나노튜브로 만든다. 탐침은 재질을 알기 때문에 일함수를 알 수 있고 탐침과 원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면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활성화될 때가 있다. 바로 암세포다. 텔로머라아제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DNA
끝
에 텔로미어가 계속 붙어 세포가 늙지 않고 계속 분열하는 암세포가 된다. 역으로 텔로머라아제가 활발히 작용하지 않아 유전질환을 일으킬 때도 있다. 예를 들어 골수에서 조혈모세포가 빨리 늙어 죽으면 혈액세포가 ... ...
'채식'하는 거미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한다. 주로 아카시아의 잎, 꽃꿀, 꽃가루를 먹는데, 그중 가장 좋아하는 먹이는 잎
끝
에서 나오는 노란 점액, 즉‘벨트체’다.바기라가 벨트체를 먹을 때 길잡이 역할을 하는 건 개미다. 개미는 아카시아의 빈 줄기에 살면서 벨트체를 마음껏 먹는 대신 초식성 곤충으로부터 아카시아를 지켜준다.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