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
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타겟 말라리아, 불임 모기의 탄생◀ 모기 암컷과 수컷이 짝짓기를 하는 모습.(QR을 찍으면 타겟 말라리아와 옥시텍의 영상을 볼 수 있어요.)“우리는 함께 말라리 ...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
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과학뉴스] 사람 얼굴 알아보는 똑똑한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자세히 기억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뉴런의 정보를 읽는
기술
을 이용해 다른 기억도 재현해 낼 것”이라고 덧붙였답니다 ... ...
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안녕? 나는 광산에서 금을 캐는 20년 경력의 베테랑 두더지 광부야. 아마 광산에서 금속을 캐는 데는 나를 따라올 사람이 없을 걸! 그런데 광부라면서 왜 산속이 아니라 도시에 있냐고? 그 이유를 지금부터 알려 줄 테니 따라와 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금속 주변에 미생물을 풀어 놓고, 황과 철을 먹이로 주어 순수한 금속을 얻는 거예요.이
기술
은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아요. 하지만 미생물이 자라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생후 4주내 유아에게 접종할 경우 1.2mm로 얇은 진피에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
이 필요하다. 경피용은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뒤 9개의 바늘이 달린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개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연구를 발전시킨 내용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점수를 많이 줬다”고 말했다. 나노
기술
연구협의회는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11월 6일 부산 수영구에 위치한 예스24 중고서점 F1963점. 2주 전부터 서점 안에는 로봇이 돌아다니고있다. 이 로봇은 예스24와 네이버랩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 “물건을 생산해서 분류하고, 적재한 뒤 고객의 손에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 로봇
기술
이 적용될 시대가 머지않았다”고 말했다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중국 정부는 13억 명이나 되는 전체 인구를 3초 만에 인식하는
기술
을 개발하고 있다. 익명에 가려진 사생활이 더 이상 보장받지 못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도 얼굴로 성정체성을 판별해내는 AI를 개발해 논란이 됐다. 이외에도 얼굴만으로 성격이나 정치적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두 사람은 이 장치로 한 번에 무려 8시간이나 촬영할 수 있다고 자랑했어. 최근에 인간들
기술
이 많이 발전하긴 했나봐. 그런데 고작 8시간으로 우리의 생활을 엿보겠다고? 어쨌든 최선을 다해야지 뭐. 감독이나 각본도 없고 그냥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담기만 하면 되니까 부담은 없었어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평가에 투입되는 비용과 물리적인 시간의 제약이 크다.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1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를 발표하면서 질적 성과지표 104개를 새롭게 추가했다. 질적 성과지표에는 피인용횟수, 고피인용도 논문 수, 즉시성 지수 등이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