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d라이브러리
"
글
"(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예정”이라며, “특히 기하학 및 정수론과 연결지어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랭
글
랜즈 프로그램이란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는 작업이에요. 관전 포인트 4. 수학계 떠오르는 분야는 확률과 통계! 초청강연은 2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여러분은 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먹어서? 벽에 던져서? 최근 기계공학자들이 면끼리 얼마나 붙어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고 발표했어요. 대체 어떤 방법인지 지금 바로 알아봐요. 2022년 3월 미국 물리학회에서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됐어요. 샘 터픽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기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거대한 지하동굴에 용암이 흘러 매우 덥고 건조하며 밤낮의 구분이 없는 곳!바로 ‘네더월드’예요. 오늘 지옥을 연상시키는 이곳에 가는 네더 차원문을 만들고, 위험한 몬스터가 도사리는 네더 요새에 가 봐요. 미션 1. 네더 차원문을 만들자! 마인크래프트에 처음 접속하면 우리가 사는 세계와 ... ...
[과학뉴스]1억 년 빨라진 깃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깃털의 기원이 알려진 것보다 1억 년 정도 더 빨라졌다. 아일랜드 코크대 연구팀이 “1억 1500만 년 전 익룡의 머리 화석에서 깃털 흔적을 발견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공룡과 공통조상을 갖는 익룡에서도 깃털의 흔적이 발견되면서 약 2억 5000만년 전 살았던 둘의 공통조상에서부터 깃털이 있었을 ... ...
[과학뉴스] “너 지금 삐딱하게 앉았지?” 경고해주는 옷 개발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건 건강 유지에 중요한 습관이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자세에 신경을 기울이기란 쉽지 않다. 삐딱하게 앉을 때마다 경고해주는 기계가 있다면 어떨까. 중국과학원 베이징 나노에너지 및 나노시스템연구소 연구팀은 나노 마찰전기 발전 기술을 적용해 착용자의 자세를 실시간 ... ...
[과학뉴스] 제임스웹 첫 관측 타깃은 ‘슈퍼지구’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5월 26일(현지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뜨거운 슈퍼지구인 ‘55 Cancri(게자리) e’와 ‘LHS 3844 b’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첫해 관찰 목표로 정했다고 밝혔다. 슈퍼지구는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질량이 지구 질량의 2~10배 정도로 큰 행성을 뜻한다. 대체로 화산폭발 같은 지각 운동 ... ...
[과학뉴스] 서식지 따라 ‘휘파람 이름’ 바뀌는 돌고래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대부분의 돌고래는 이름 대신 휘파람 소리로 동료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챈다. 2013년에는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 연구팀이 수백 마리의 돌고래가 각자 다른 휘파람 소리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고유한 소리가 이름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doi: 10.1126/article.26367그런데 이들의 ... ...
[과학뉴스] 화상회의가 창의성 막는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세가 사그라들며 기업들은 전면 출근 또는 재택근무 지속의 갈림길 위에 섰다. 이 가운데 재택근무에 활발히 활용되던 화상회의가 창의성을 막았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2-04643-y멜라니 브룩스 미국 컬럼비 ... ...
[특집] 코인, 어떤 게 살아남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테라와 루나가 무너지면서 코인 전체에 대한 신뢰도 흔들리고 있다. 미래 기술로 주목받던 암호화폐 기술에 왜 이런 불신이 생겼을까. 최초의 코인은 ‘비트코인’이다.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의 인물이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만들었다. 당시 사토시 나카모토는 백서(White ... ...
[인포그래픽] 아시아 최초 EPL 득점왕 '손흥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