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던지는 법적 쟁점8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연구성과와 결과를 무료로 공개하겠다는 원칙을 천명한 바 있다. 유전정보를 인류
공동
의 유산이라고 보는 매우 타당한 관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를 바탕으로 개발되는 2차적 발명의 특허출원까지 막을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다. 특허를 통해 막대한 부(富)를 축적하려는 특허전쟁에 대비해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것이다. 따라서 분단 50년 동안 보존돼 온 비무장지대의 생태를 지키기 위해 남북한간
공동
조사가 매우 절실하다.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이번 정상회담 때 진돗개와 풍산개를 선물로 주고받았다. 남과 북을 대표하는 진돗개와 풍산개의 교류처럼 생태분야도 원활한 교류가 이뤄질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조절의 복잡성에도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인간게놈 프로젝트의
공동
참가국인 프랑스 지노스코프의 크롤리우스 박사는 인간과 복어의 염기서열을 비교해보면 그 숫자는 더 작아진다고 주장했다. 두 염기서열을 비교해서 동일한 유전자가 포함된 부분을 찾아내는 형식으로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정부의 한 정보표준 담당자는 “정보통신 표준화를 준비중이다. 그러나 아직 북한과
공동
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서 공개될 경우 남측 주도의 표준화라는 오해를 살 수 있다. 이 외에도 매우 복잡한 문제들이 산재해 있어서 민간 단체나 기관에도 언급을 자제해주도록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 ...
원자와 분자로 글씨를 쓴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공등연구하고 있고,초고진공을 위한 이온펌프개발과 시험과제를 표준연구원과
공동
연구 중이다.삼성종합기술원과는 평면표시장치 중 하나인 FED(Field Emission Display)를 개발하고 있다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독일, 프랑스, 미국
공동
발굴팀이 동유럽 그루지아공화국 드마니시에서 약 1백70만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두개골 화석을 거의 완벽한 상태로 발굴했다는 소식이 5월 12일자 사이언스지를 통해 전해졌다. 이것은 아프리카 밖에서 발견된 인류 화석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대표적인 것이 16인치 반사 망원경으로 헤일-밥혜성을 발견한 헤일, 슈메이커-레비혜성의
공동
발견자 데이빗 레비 등 주로 미국이나 호주처럼 관측지의 하늘상태가 좋은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발견 가능한 한계등급은 12.5등급.한편, 사진으로 혜성을 찾는 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슈미트 카메라의 ... ...
식물세계 미남 미녀의 조건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2배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꽃잎과 꽃대를 함께 사용해 양성화의 형태를 취하면
공동
경비를 많이 절약할 수 있어 유리하다. 고등식물에서는 흔한 모습이나 고등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다.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의 경우는 동물처럼 수컷이 암컷을 찾아다닐 수 없다. 따라서 단일 개체 안에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공동
이 우주의 비눗방울에 해당한다.(3) 그림을
공동
보다도 더 큰 규모에서 살펴보면 은하의 분포는 거의 균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사진에서 보이는 지역 중에서 비교적 가까운 지역을 크게 몇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은하의 평균 개수를 계산해보면 대략적으로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흡수하면 팽창한다는 점 등을 훤히 다 깨닫고 있었다는 얘기다. 여기에 서로 돕고 사는
공동
체 생활도 큰 몫을 했다. 강화도 부근리에 있는 고인돌 덮개돌은 무게가 무려 1백여t이나 된다. 이렇게 거대한 고인돌을 세우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협동했음은 물론이다.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지기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