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06
건물의 층이나 프로 운동 선수들의 등번호로도 13은 기피대상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미국
에서는 13일과 관련한 결근과 예약 취소가 자주 발생한다.13을 소재로 하는 소설과 영화도 13 공포증에 한몫했다. 대표적으로 1907년 발표한 토마스 로슨의 소설 과 공포영화 ‘13일의 금요일’(198 ... ...
미분방정식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206
운영했어요. 그런데 실제 산업현장에서 일해 보니 수학이 필요하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미국
으로 수학을 공부하러 갔어요. 거기서 응용수학을 알게 됐답니다.최예원 : 제 꿈은 교수님처럼 수학자가 되는 거예요. 어떤 준비를 하면 좋을까요?민조홍 교수 : 제 생각에는 ‘나는 앞으로 이것을 재미있게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06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근접 촬영한 혜성 ‘하틀리(Hartley)2’] 눈에 보이는 푸른 바다는 거대하다. 바다의 수심이 평균 4000m에 달한다는 걸 떠올리면 바닷물의 양은 압도적이다. 표면적이 가장 넓은 태평양이 약 1억 6500만㎢ , 대서양이 약 9800만㎢, 인도양이 약 6500만㎢로 남극해와 북극해를 합하면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1206
전세계 지하철이 모두 똑같아진다? 경제나 도시계획, 법체계가 달라도 대도시 지하철은 규모가 커질수록 기하학적으로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다 ... 비용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런 ‘공통화 현상’이 나타난다고 추정했다.[유명한
미국
시카고의 도시철도 ‘루프(LOOP)’의 철로. ... ...
전기 만드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1206
미국
UC버클리 로렌스국립연구소가 바이러스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연구팀은 바이러스를 우표만한 크기에 촘촘히 모은 뒤 20층으로 쌓았다. 이를 금으로 만든 전극판 사이에 끼운 뒤 누르자 LCD 화면이 켜졌다. 생산된 전류의 양은 최대 6나노암페어(nA).실험에 쓰인 바이러스는 세균을 ... ...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06
않는 돈을 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자 제임스 페너베이커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맞는 것 같다”며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그렇지 않으면 트윗을 할 이유가 없지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06
이르다. Y염색체가 그보다 더 오래 버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MIT 화이트헤드생화학연구소의 제니퍼 휴즈 박사와 데이비드 페이지 박사 연구팀은 네이처 2005년 9월 1일자에 사람의 Y염색체가 생각보다 오래 보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600만 년 전쯤 갈라진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06
4대 힘 외 새로운 힘을 발견하는 첫 걸음일지도 모른다. 그 첫걸음을 위해 지난 4월 24일
미국
버지니아주의 토머스제퍼슨연구소(이하 제퍼슨연구소)가 암흑광자 사냥에 돌입했다.[암흑은 빛으로, 빛은 다시 전자로-암흑물질과 반암흑물질(암흑물질의 반물질)이 충돌하면 2개의 암흑광자가 탄생한다.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06
연구하는 학자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대목이 하나 있다. 자신의 꿀벌 배설물 지식이
미국
정보국과 구소련 사이의 화학무기 공방전을 해결했다는 에피소드를 소개한 직후다. “순수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연구가 어떻게 예상치 않은 유용한 지식을 만들어내는지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지만, 사실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06
아닐까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신경세포 사이의 연결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사람은
미국
위스콘신주립대 존 화이트 교수다. 1986년 화이트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이라는 1mm 크기 선충의 뇌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의 모든 연결성을 찾아 지도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신경세포의 수는 302개에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