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4,379건 검색되었습니다.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
과학동아
l
199606
충분하다.이같은 이점 때문에 복합사무기는 주공략
대
상으로 잡고 있는 소비자 역시
대
기업보다는 10평내외의 사무실 규모를 가진 중소업체나 재택근무자 등 이른바 SOHO(Small Offoce Home Office)에 두고 있다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06
완전한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2. 모든 정보는 개방돼야 하고 공유돼야 한다.3. 권력에
대
한 불신, 분권화를 촉진하라.4. 해커들은 그들 자신의 해킹에 의해서만 심판돼야 하며, 학년이나 연령 혹은 지위나 재산같은 사이비적인 판단 기준에 의거해서는 결코 안된다.5. 컴퓨터를 통해 예술과 ... ...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06
간섭 무늬의 실시간 처리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적돼 있다.3차원TV가 2차원TV를 완전히
대
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람이 3차원 영상에 익숙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3차원 촬영용 카메라와 필름을 쉽게 현상하거나 전시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돼야 한다.입체TV는 수상기 ... ...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06
주위를 도는 전자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밝혀냄. 이로써 톰슨의 원자모델은 깨지고
대
신 러더퍼드모델이 등장. 러더퍼드모델은 원자핵이 양성자로 이뤄졌다는 것이 특징.1923년 콤프턴이 아인슈타인에 의해 예언됐던 광자 발견.1930년 독일의 보데와 베커는 원자핵이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뤄졌다는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우리의 '필름을 끊는' 위험 요소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억상실증은 현
대
문명이 낳은 또하나의 치유될 수 없는 병일지도 모른다.신경전달물질신경세포들 사이에는 5만분의 1mm 정도의 작은 틈이 있다. 이 틈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오가며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이 자극되면 세포내에서 ... ...
햐쿠타케혜성이 남긴 이야기
과학동아
l
199605
주기가 다른 이유는 행성들과 태양의 인력에 의한 섭동 때문이다.햐쿠타케혜성은 역사시
대
이후 관측된 긴 꼬리 혜성의 랭킹에오를거 같다. 햐쿠타케혜성의 꼬리는 지나 3월 26일을 전후해서 1백°에 이르렀고, 태양에 가장 근접하는 그일점(5월2일)을 전후로 다시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05
인치 해상도 카메라 두
대
와 12인치 해상도 (12×12인치를 한점으로 인식)를 가진 카메라를 1
대
씩 장착했다. 이 위성은 지상 1백 60km 상공에서 하루 4-5회씩 지구궤도를 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6년 처음 발사된 KH-11은 영상을 디지털 전자신호로 바꾸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첫 첩보위성으로, 케난(Kennan ... ...
2. 천문학 태양계는 질서정연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9605
자신이 지은것이다.프랙탈은 카오스를 정량적으로 기술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
동맥에서 실핏줄에 이르는 혈관은 매우 미세해질 때까지 갈라진다. 그것을 길이로 따지면 엄청나겠지만 핏줄이 차지하는 공간은 아주 작다. 마치 코흐의 눈송이 곡선이 길이는 무한하게 늘어나지만 면적은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05
이상이 있으면 전문의와 빨리 상담할 필요가 있다" 고 설명한다.결혼에
대
해 자신의 의지
대
로 선택했든 그렇지 않든간에 미혼의남녀는 정신적·육체적으로 고유의 질환에 시달릴수 있다. 그렇다고 결혼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논리는 지나치게 단순한다. 하지만 미혼 남녀에게 발생하는 여러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
가
과학동아
l
199604
길고 단물을 배설하는
대
롱이 긴 반면 개미와 공생하는 진딧물들은 비교적 짧은 다리와
대
롱을 갖고 있다.개미와 공생하는 진딧물들은 이같은 형태적인 적응 외에도 행동적 적응력도 지니고 있다. 아무 때나 일률적으로 단물을 뿜어내는 것이 아니라 개미의 보호를 받을 동안 집중적으로 만들어내느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