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뉴스
"
주로
"(으)로 총 4,398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크리스마스 트리에는 중성자별을 달아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24
확인됐다. 킬로노바는 1000배 에너지가 더 강한 신성(新星)’이라는 뜻이다. 원래 신성은
주로
어둡고 작은 천체인 백색왜성이 주변의 천체로부터 물질을 끌어들여 급격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때 생긴다. 이와 달리 킬로노바는 두 중성자별이 충돌할 때처럼 무거운 원소가 붕괴하며 에너지를 ... ...
국내연구팀, 큐비트 정보처리 개선하는 물질 현상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지금까지는 큐비트간의 정보교환을 할 때 밀집돼 있는 수많은 원자의 초방사 현상을
주로
이용했다. GIB 제공 양자 컴퓨터의 큐비트는 지금 컴퓨터의 비트와 같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비트가 0 혹은 1로 확정된 값을 갖는 것과 달리 큐비트의 저장된 정보는 0과 1 중 ... ...
제천 화재, 단열재 스티로폼이 ‘플래시 오버’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따라 건물 상층부로 옮겨갔을 것으로 추측된다. 드라이비트 공법에 쓰는 마감재.
주로
스티로폼을 단열재로 사용한다. - materials.soa.utexas.edu 제공 가연성 외장재 역시 화재를 키운 원인으로 꼽힌다. 제천시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건물은 2011년 완공했을 당시 건물 마감에 ‘드라이비트’ 공법을 ... ...
[미래산업②]新시장 혁명 나선 한국형 인공장기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장기는 기계기술로 구현하기 까다로워
주로
근골격계 보조나 일부 순환계 질환용으로
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엔 이종장기, 세포배양, 전자기기 등 다양한 인공장기 기술의 장점만을 취하는 ‘융복합 형태의 연구도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오가노이드 기술을 복제동물을 만들 때 사용하는 체세포 ... ...
세균도 촉각이 있다
과학동아
l
2017.12.21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그에 맞춰 활동한다. 지금까지는 화학적 신호를 감지하는 원리가
주로
연구돼 왔는데, 최근 스위스 바젤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 세균이 물리적인 감각도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은 점막이나 장 안쪽 피부를 통해 침투한다. 세균이 점막에 접촉하는 최초 몇 초는 ... ...
천재인가? ‘우산 1개를 쓴 4명 남자’
팝뉴스
l
2017.12.20
잘못하면 낙상할 위험도 있다. 그러나 해외 네티즌들은 ‘천재’라면서 높이 평가한다.
주로
‘코미디 감각이 천재적’이라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뇌 속에 넣을 수 있는 안전한 '신경전극'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의수, 의족을 만들 때 꼭 필요한 기술로 꼽힌다. 기존에도 신경전극은 개발돼 있었지만,
주로
딱딱한 실리콘 기판을 썼기 때문에 주름진 뇌 안에 붙이기 어려웠고 몸의 거부 반응도 심했다. 휘어지는 전극을 개발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몸 안에서 금속과 기판이 금세 분리되는 문제가 있어 일시적인 ... ...
[동영상] 물 속에서 더 잘 붙는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설명했다. 습식접착제는 젖은 상태에서 서로 다른 물질을 붙이는 물질이다.
주로
물 속에서 단단하게 달라붙는 홍합 단백질을 모방해 개발해 왔다. 다만 이 방식은 화학처리가 필요하고 비싼데다 한 번 붙이면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약점이 있다.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불 경우는 큰 동해에서 생긴 눈 구름이 유입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태백산맥에 가로막혀
주로
강원 영동지역에 눈을 뿌린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한국의 서쪽에는 큰 중국 대륙이 버티고 있다. 작은 서해가 있지만 이곳에서 생겨나는 눈구름은 동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서울 등 ... ...
[짬짜면 과학 교실] 인어 공주와 펭귄 신사 이야기
2017.12.16
걸쳐 서서히 자신의 몸을 바꿨습니다. 결코 새는 아니지만 밤하늘을 날아다니면서
주로
벌레나 과일을 먹는 포유류 동물 박쥐처럼 말입니다. 이렇듯 자연 세계에서 살아가는 생물이 주변 환경에 유리하게끔 세대를 이어가며 조금씩 변화하는 과정을 진화(進化)라고 합니다. 생물들이 진화하는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