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시상식 거행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문제는 가상공간의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우선 필요했다. 중등부의 경우 지구
표면
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바다 속에 농장을 만든다고 가정하고 사람을 포함해서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에너지, 공기의 제공방법 등을 제시하는 문제였다. 즉 각 팀마다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유도한다. 셋째로 어떤 암세포는 점액성 단백질(mucoprotein, sialomucin)을 자신의
표면
에 뒤집어 써 T세포의 가시권에서 벗어난다. 넷째로 이른바 방해 항체(blocking antibody)를 만들어 자신(암세포)에게 붙임으로써 면역시스템의 눈에 띄기 쉬운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서 T세포가 자신을 발견하지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타이로신 복합체를 만든다. 이 타이로신 복합체는 세포 밖으로 나가 다른 조혈모세포
표면
의 타이로신 리셉터에 결합해 세포 안으로 ‘세포분열을 계속 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끊임없이 세포가 분열하는 원인이다. 글리벡은 BCR-ABL과 결합하는 ATP를 경쟁적으로 방해해 결국 타이로신 복합체를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볼 수 있다. 볼링공 정도의 크기라면 대기권에서 다 타버리지 않고 살아남은 알갱이가 지
표면
까지 떨어질 수 있다.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별똥별은 전지구적으로는 하루에 25만개 가량 떨어진다고 한다.유성체는 대기권 상층부 80-1백30km 상공에서 공기와 마찰로 타버리는데 이 현상은 지상 2백km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범위를 줄이는 것이었다. 이것은 높은 해상도를 얻는 문제와도 직결된다. SPM 탐침이
표면
을 훑고 지나가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우선 SPM 기판 위에 얇은 판 모양의 액체(물)를 펴고, 여기에 DNA와 RNA 폴리머라제를 넣는다. 그런 후 아연 이온을 추가해 움직임의 속도를 느리게 했다. 한편 DNA의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배워 어떤 이미지를 얻기는 무척 어렵다. 숭실대 강세종 교수는 SPM을 이용한 원자수준의
표면
윤곽을 얻기가 현재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같은 시료를 두고 오늘 본 SPM 사진과 내일 본 SPM 영상이 다르다. 아니 매번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SPM의 탐침이 단지 원자 몇개로 구성돼 있어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양쪽으로 갈라져 있고, 가장자리에는 가시모양의 돌기가 솟아있다. 곤충들이 좁은 잎의
표면
에 앉는 순간 곤충은 안테나를 건드리게 된다. 곧 잎에서는 미세한 전기자극이 일어나고, 두개의 잎은 불과 0.3초만에 닫혀버린다.그런데 파리지옥풀은 한번의 자극으로는 소화액을 분비하지 않는다. ... ...
유리잔으로 물질 밀도 알아맞추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구모양이 된다. 그 이유는 기름 분자들끼리 잡아 당겨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려는 힘, 즉
표면
장력 때문이다.액체 탑으로 알아본 물질의 밀도왜 그럴까?!밀도가 다른 여러가지 액체를 밀도가 큰 순서부터 차례로 조심스럽게 한개의 유리잔에 부으면 액체 탑을 쌓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한 액체의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용한 프린터의 해상도는 2백만DPI에 이른다.실제로 나노펜 프린터을 이용해 금
표면
에 문장을 썼다. 여기에 쓰인 문장은 잘 알려진 물리학자인 고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에 한 연설(1960년에 책으로 발표됨)의 한 부분이다. 이 연설 내용은 놀랍게도 파인만이 2000년대 나노과학기술의 눈부신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윤곽뿐 아니라 SPM의 종류에 따라 자기장이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정보도 시각적으로 함께 표현해줄 수 있다.이같은 시각화가 SPM을 이용한 나노조작기술과 함게 구동되면 과학자는 지금보다 쉽게 나노세계를 다룰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교육용 자료로 이용할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