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직접 소통하는 부분에 노력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노력이 2∼3년간 꾸준히 지
속
되자 서서히 글로벌 팬층이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회사의 재무적인 여력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감내하는 것은 최고경영층의 책임이지만 이러한 과정을 이겨냈을 때의 성과는 더욱 눈부시다. 자율성에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적용해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딱따구리가 박치기할 때 뇌에 손상을 입는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알코올
속
에 보관된 딱따구리 표본을 분석해 봤지요. 두뇌의 구성 성분을 조사한 결과, 뇌 손상의 신호로 여겨지는 타우 단백질을 발견했어요. 사람은 뇌에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 신경이 마비되지요. 일리: 그럼 머리에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있는 2500㎡ 규모의 건물을 이산화타이타늄으로 감싼 적이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사냥꾼 간다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Part 4. 빵빵~ 미세먼지 잡는 자동차가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저렴해지면 오아시스 같은 가상현실 게임도 가능할 거라고 합니다. 환상적인 게임
속
세상에 들어갈 날을 기대 해 보세요. 물론, 수학이 열일 좀 해야겠죠 ... ...
수학자가 왜 거기서 나와? 돈 ‘밝힌’ 수학자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영국 브로드웨이 뮤지컬 주인공이 되는 것보다 힘든 게 바로 ‘화폐’의 주인공이 되는 겁니다. ‘제2의 국기’라 불리는 화폐에는 나라를 빛낸 위인 중에서도 선 ... 출신이니까, 유럽에서 발행한 화폐부터 찾아보는 게 좋을 거예요. 자, 준비됐으면 화폐
속
수학자를 만나러 떠나봅시다 ... ...
제20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창의적일수록 좋다. 그렇다고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참신한 주제는 우리 생활
속
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작년 출품작 중 ‘SNS를 활용하여 작심삼일 이겨내기’ 같은 통계포스터를 예로 들 수 있다.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SNS에 스스로 세운 목표와 그 진행 과정을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모든 n차원 다양체는 2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매장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뇌
속
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으면 신경세포 안에 ‘타우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 두 단백질 사이의 연결고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조사했다. 새우에게 빛을 쪼여 움직이도록 자극한 뒤, 새우의 움직임에 따라 수조
속
바닷물이 어떻게 흐르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바닷물이 밀도에 따라 굴절률이 바뀌면서 평행한 빛을 반사해 이미지를 형성하는 ‘슈렐린 이미징’ 기법을 사용했다. 또한 소금새우가 붉은 빛에 거의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