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돕는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배터리 성능을 개선해온 지가 벌써 10년이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3~4년 후면 현재 에너지 용량 대비 50%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까지가 도핑기 술의 한계일 것”이라고 추측했다.“배터리 문제는 해결될 기미가 안 보이니 충전 케이블 관리를 잘 ... ...
- 하늘을 나는 사이언스 토이를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왔어요. 어린이의,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에 의한, 어린이날!벌써부터 어린이날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분주한데요. 이번에는 더 특별한 선물을 알려 주려고 어린이과학동아 블로그에 있는 ‘도전! 어과동TV ’가 현장에 나섰습니다. 어린이날을 맞아 최고의 사이언스 토이, ‘RC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시베리아호랑이가 한국호랑이와 유전자가 100%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거든요. 그리고 서울대학교 이항 교수팀은 시베리아호랑이의 활동 범위 같은 다양한 생태 정보를 유전자와 생태 연구로 밝힌 다음, 이를 이용해 호랑이가 백두산까지 갈 수 있는 생태통로를 만들고, 백두산에서 살 수 있게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저도 이 샌드위치, 참 좋아하는데요, 제가 한번 먹어 보겠….”“컷! 꼬꼬~! 그게 아니야! 시청자들은 이제 평범한 착한식당에 질렸다고!”이영돈PD의 먹거리 X파일 스튜디오에 이상한 손님이 불쑥 찾아왔다. 그 주인공은 바로 치킨맨! 불청객의 등장에 깜짝 놀란 이영돈PD가 말도 못하고 입만 뻐 ...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싶은 것을 담는 그릇이에요. 먼저 미술관 속 온실인 ‘플로팅 가든’을 소개할게요. 남서울미술관에서 열린 ‘인공 정원’ 전의 작품 중 하나로, 여러 작가들이 인공 정원을 하나씩 만든 전시였어요. 저는 구형의 온실을 3개 만들었답니다.처음에 온실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유리창을 어떻게 ... ...
- 우리는 수학 게릴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얘들아, 우리 아예 수학 동아리를 만들면 어떨까?”함께 모여 방과후 활동을 하던 아이들이 ‘수학 동아리’를 만들기로 뜻을 모았다. 도대체 어쩌다 동아리까지 만들 ... 보면 수학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조금씩 성장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서울 연희중 수학교사 ...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질이 깨끗하다는 반응이다. 7월 7일 자녀와 함께 오션월드를 찾은 이광우(45, 서울 홍제동)씨는 “워터파크를 자주 오는 편인데 피부에 문제가 생긴 적은 없다”고 말했다.올 여름, 깨끗하고 시원한 워터파크의 품으로 더위에 지친 몸을 던져보는 건 어떨까. 짜릿한 과학으로 맛볼 수 있는 스릴은 ...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최은경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인문의학으로 박사를 받은 뒤 현재 서울대병원 의학역사 문화원 연구교수로 있다.식민지 시대 결핵에 관해서 박사논문을 썼으며 질병사와 근현대 의료사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leesy1318@gmail.com이미지 출처│KBS, 위키미디어, ... ...
- 4월, 더 독해진 황사에 대처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황사의 옛날 이름은 흙비삼국사기를 보면 ‘우토’가 내렸다는 기록이 나와요. 우토는 흙비를 말하는데, 바람에 날려 올라갔던 모래흙이 비처럼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지요. 또한 조선시대 명종 5년 3월 22일 기록에도 ‘한양에 흙비가 내렸다. 전라도 전주와 남원에는 비가 내린 뒤에 연기 같은 안개 ... ...
- [뉴스 포커스] 대한민국 대표 수학자 박종일 교수,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건가요?상금의 일부는 내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 그리고 또 일부는 서울대학교에 기부할 계획입니다. 나머지는 우리 집사람이 알아서 쓰겠지요? 허허~. 한국 수학계에서는 상금을 받은 사람이 우리 수학계의 발전을 위해 일부 기부하는게 당연한 일이랍니다. 똘똘한 청소년들이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