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구분하는 C언어와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덩어리를 나누어요. 이러면 코드만 봐도
명
령 덩어리가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파이썬은 아직 C언어보다 사용하는 곳은 적지만,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널리 확대되고 있답니다.프로그래밍 언어 중에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종류도 있어요. ...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고 하니 주의해야겠습니다.연구팀은 호주의 15세 학생 1만 2000
명
을 대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와 온라인 게임을 하는 빈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거의 매일 게임을 하는 학생의 수학과 독해 성적은 평균보다 15점이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오랫동안 화면을 보고있는지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4년 뒤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 중 53
명
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그 결과 첫 실험에서 화면을 오랫동안 봤던 아이가 수학 문제를 풀 때 더 강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로렌코 박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한 이 실험으로 공간 추론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바닷물이 넘실거리는 방에 갇힌다. 항상 4
명
이던 파란노을 동아리방은 아름이가 빠진 채 3
명
이 지키고 있었다. 자신들만이 아름이를 구할 수 있다고 판단한 친구들은 구출 작전을 계획한다.그저 기승전수학일 것만 같던 수학특성화중학교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흥미진진하다. 과연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원 과정을 밟았다. 타오 교수는 프린스턴대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UCLA에 교수로 임
명
됐다. 두 사람 모두 같은 학교를 경험해 본 것이다.“박사후 연구원을 마치고 타오 교수에게 UCLA와 상반된 분위기에 당황했던 것을 말했죠. 타오 교수도 똑같이 느꼈다며 동감하더라고요.”수학자의 특별한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않은 지도 한참이다. 과학 분야 일본 수상자 21
명
중 국외에서 최종학위를 받은 사람은 세
명
뿐이다. 나머지는 다 일본에서 최종학위를 받고 연구한 국내파다.유학을 가도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세계적 석학의 밑으로 가길 선호하는 우리는 여전히 추격형 전략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선두에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세기부터 8세기 중반까지 지속됐던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으로 무려 5000만
명
이 목숨을 잃었다. 14세기 유럽을 초토화시켰던 흑사병과 마찬가지로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원인이었다. 그런데 당시 페스트균이 퍼졌던 지리적 범위와 사망에 이르게 한 영향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최근 독일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또다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NIH 재직 당시 연구비 지원 심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명
경재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UNIST 교수)은 “198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첵의 경우 40년 이상 한 가지 주제로 연구비를 지원 받았다”고 말했다.또 NIH는 연구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런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얼마나 많은지는 알 수 없다. 또 세
명
의 국내 과학자가 향후 노벨상을 탈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다. 이들이 연구하는 분야 중 일부는 이미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다. 하지만 이재윤 교수는 “만약 한국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다면 이들의 연구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데이터가 마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치아검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한 5만8000
명
의 자료, 흉부 엑스선 방법에 사용한 수만 장의 엑스선 필름들, 그리고 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수많은 기증자들이 바로 데이터다.한국엔 한 해 평균 120건 이상 백골 시체가 발견된 다. 이들이 모두 유가족에게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