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임무가 남아있습니다. 우리는 2kg의 구리 포탄을 소행성 표면에 충돌시켜 인공 분화구를 만들 예정입니다. 상황이 허락한다면, 소행성 지표면 아래의 물질을 채취하기 위해 인공 분화구에 하야부사2를 착륙시킬 생각도 갖고 있습니다.또 다른 탐사 로버인 ‘미네르바-Ⅱ2’도 2019년 말에 배치될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전력 생산효율이 너무 낮다고도 지적했다.현재 핵융합에너지는 기술 검증에만 수십 년 이상 걸려 언제 완성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해 있다. 1억~2억5000만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안정적으로 수백 초 유지해야 한다는 기술적 난관이 불안감의 가장 큰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유 교수는 “40~50년 전에 비해 백금의 비율을 100분의 1로 줄였지만, 내연기관과 경쟁하기 위해 10분 1을 더 줄여야 한다”며 “‘최고의 촉매’를 찾기 위해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대학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지만 그 답을 찾으러 가는 곳이기도 하다. 열심히 학교 공부를 하면서도 자신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는 점은,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학생부종합전형과 진로 고민 과정이 가진 순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어떤 별이었는지, 어떻게 폭발하게 됐는지 등의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며, “하지만 이 순간을 우연히 발견할 확률은 1억분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알렉스 필리펜코 교수도 “부소의 발견은 우주의 복권에 당첨된 것과 같다”며 “이번 연구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구름 감상 협회의 취임 기념 강연’이라고 불렀지요. 그땐 구름 감상 협회를 진짜 만들 생각은 없었어요. 그냥 재미를 위해 붙인 이름이었죠. 그런데 강연이 끝나자 많은 사람들이 앞 다투어 저에게 와서 어떻게 그 협회에 가입할 수 있는지 물었어요. 그때서야 저는 이 단체가 정말 필요하다는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싶어요. 이번 프로젝트는 19세 이상만 참여 가능해서 아쉬운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곧 어린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내미생물 프로젝트도 시작하려고 해요. 그때까지 여러분의 장내미생물을 건강하게 가꿔 주세요! # 끈기와 노력이 빛을 발한 아마추어 과학자들을 보니 어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시 돌아간다는 뜻이에요. 물리학에서는 파동이 직진해서 나아가다가 다른 매질을 만나 방향을 바꾸어 되돌아갈 때 ‘반사한다’고 표현하지요. 모든 파동은 매질에 부딪힐 때의 각도와 같은 각도로 되돌아간답니다 ...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 과정에서 태양 질량의 수 배에 이르는 물질을 방출하고 중성자별이 된다. 하지만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별은 폭발 과정에서 태양 질량의 5분의 1 수준의 물질을 방출하는 데 그쳤다. 카슬리왈 교수는 “이 별 가까이에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 블랙홀 등 쌍성을 이루는 별이 존재한다는 ...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교수는 “막센으로 만든 안테나는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다른 첨단 나노 소재로 만든 안테나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며 “우리 생활과 밀접한 기기들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adv.aau0920서동준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