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쏘면 뇌신경 ‘ON’… 빛으로
동물
행동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포인터로 켜고 끈다. 허 교수는 “광유전학을 이용하려면 지금까지는 수술을 통해 실험
동물
의 뇌에 광섬유를 심어야 했다”며 “수술을 하지 않고 세포에 빛만 비춰도 유전자를 작동시킬 수 있어 광유전학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말했다 ... ...
일본이 시작은 했지만…"한국産 줄기세포 치료제 속속 출격 준비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김 교수는 "현재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동물
실험을 마치고 임상시험 준비 중"이라며 "내년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승인을 얻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일본 등 다른 국가에서도 iPSc를 이용해 척추 손상, 파킨슨병 등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 ...
3200~2400년전 아기에게
동물
젖 먹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차이로 두 지방산의 C-13 함량이 다르다. 함량 차이를 비교하면 반추
동물
과 그 외의
동물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기존에는 이 주전자가 아픈 사람에게 물이나 음식물을 먹이는 용도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우리 연구로 아기에에 젖을 먹이는 용도로 쓰였다는 사실이 ... ...
가축 살처분, 멧돼지는 사냥…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북한 전역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상당히 확산됐다는 뜻이다. 북한은 5월 30일 세계
동물
보건기구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북한 접경 지역에서 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지고 있어, 이 지역 14개 시 군의 하천과 도로를 소독할 예정이다. ... ...
오염된 식물사료·강물로도 확산…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판정이 나오며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진 농가는 5곳으로 늘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동물
이 옮겼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 5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발병한 이후 방역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북한에서 병에 걸려 넘어온 멧돼지가 주요 감염 경로가 아니냐는 지적이 꾸준히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2019.09.25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 ...
"전세계 인구 100명중 17명은 우울증. 광유전학이 치료길 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환자에게서 비정상적으로 지나치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영역”이라며 “현재
동물
용 마취제로 쓰이는 케타민이 마치 기관총처럼 터지는 외측고삐핵의 비정상적인 과활성화를 잠재운다”고 했다. 기존에도 케타민이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는 있었다. 외측고삐핵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받았고 이 가운데는 이국적인
동물
들도 포함돼 있었다. 케냐를 방문했을 때도 여러
동물
을 선물로 받았을 것이고 그에 대한 답례로 배에서 키우던 돼지 몇 마리를 주지 않았을까. 이렇게 해서 돼지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처음 발을 디뎠다. 당시 케냐 사람들이 이 돼지들을 가축으로 ... ...
드론 띄우니 꽁꽁 숨은 '위장 천재' 멸종위기새도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수 있다(빨간 표시). 극지연구소 제공 이원영 선임연구원은 전화 통화에서 “북극의
동물
은 남극과 달리 지상에 천적이 많아 위장을 잘 해 둥지가 바로 앞에 있어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전과 달리 일반 가시광선 카메라 외에 적외선 카메라 추가로 이용해 위장에 ... ...
토종 자생식물 제주상사화 퇴행성 뇌질환 치료 효과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제주상사화에서 항염증 효능 천연물질을 발견하고 알츠하이머
동물
실험을 통해 퇴행성 뇌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24일 밝혔다. 다양한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염증 반응은 외부 물질의 침입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정도가 심해지면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