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자
원조자
편짝
d라이브러리
"
한편
"(으)로 총 5,0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해 해충이 입맛이 없어져 더 먹을 마음이 안 생기게 한다.
한편
벌레에 공격받은 담배는 다른 개체에게도 이 소식을 알린다. 공격받은 잎에서는 페놀계 화합물인 살리실산이 생산된다. 이 물질은 휘발성이 있어 바람에 날려 다른 담배에 전해진다. 그러면 다른 담배들도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아니라 효모, 식물, 그리고 다른 동물세포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한편
블로벨 박사의 연구는 각종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신장 결석, 에이즈,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난치병들의 주요 원인은 바로 단백질이 특정 부위로 이동하는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있기 때문이다. 방송위원회의 구성과, 대기업과 언론사 참여 등에 대한 이견 때문이다.
한편
좁은 나라에 채널이 너무 많지 않느냐 하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저렴하게 채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수요는 많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예를 들어 학원가에서 원격 강의도 가능하다는 것.무궁화위성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상호 관계를 밝힐 수 있다고 장담하는 과학자는 현재로서는 없다.한국에서 처음 등장?
한편
‘신인류’가 탄생하기 어려운 또다른 이유가 있다.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사회적으로 강한 ‘거부’ 의사가 형성되면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렵다. 1997년 복제양이 태어난 이후 일각에서 끊임없이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대니얼 네이선스(1928-)와 해밀턴 스미스(1931-) 등은 197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한편
제한효소의 발견은 인간과 생물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를 ‘판도라의 상자’를 하나 안겨주었다. DNA 재조합기술을 선보인 것이다. DNA는 살아있는 생물이라면 어디든 옮겨 다닐 수 있다. 박테리아의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듣고 평안함을 찾는 것이다. 이는 많은 교육학자들에 의해 증명된 사실이기도 하다.
한편
어머니와 관련된 음향 가운데 목소리가 태아의 뇌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 1994년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연구진은 어머니의 목소리를 태아에게 계속 들려주자 심장박동수가 ‘잠들었을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언더그라운드 가수들은 MP3의 등장이 구세주라도 된 듯 자신의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MP3는 누구나 만들 수 있는 2차적 부산물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무료화를 주장한다.현재까지는 음반회사들의 주장이 먹혀 들어가고 있다. 따라서 공개통신망이나 인터넷에서 MP3 파일을 제공하는 ... ...
남극 세종기지 특명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그러나 이는 해프닝으로 끝나고 말았다. 예산을 뒷받침해 줄 후원자가 없었던 것이다.
한편
세종과학기지를 두고 과학기술부와 해양수산부 사이의 신경전도 있었다. 성격상 과학기술부에 속하나 해양연구소가 해양수산부로 넘어가면서 덩달아 넘어갔기 때문이다.우여곡절 속에 탄생한 세종기지는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훨씬 선명한 시력을 얻고 엑시머 수술의 단점이었던 근시로 다시 가는 일도 거의 없다.
한편
라식 수술은 엑시머 수술이 불가능한 -6.00디옵터 이상의 고도근시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이렇게 보면 라식 수술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시력교정 수술법인 ... ...
벌레를 훈련시킨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빛을 비추거나 전기충격을 가해 이에 대한 반응으로 몸을 뒤틀게 하는 단순한 것이었다.
한편
이 벌레는 반으로 잘리면 두도막에서 각각 다시 온전한 벌레가 재생해 나온다. 그런데 맥코넬은 잘린 두도막 가운데 뇌가 있던 부분에서 재생된 벌레뿐만 아니라 뇌가 없는 부분에서 재생된 벌레까지도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