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d라이브러리
"
작은배
"(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보이저 2호는 천왕성에 81만km까지 접근해 위성수가 15개, 고리수가 10개임을 밝혔다."3월 13일 화요일 밤 10시에서 11시사이, 나는 쌍둥이 자리에 있는 작은 별 H 제미노룸(Geminorum)근처를 관측하던 중, 유난히 밝게 보이는 천체가 있어 이를 주목하게 됐다. 이 별은 내가 관심을 가질만큼 크기가 유별났고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문전처리」가 완벽한 것으로 인식돼 있는 일본의 첨단 연구분야. 그러나 가끔 엉뚱한 실수를 하곤 한다.오늘날 일본이 세계의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하게 된 배경에는 일본의 뛰어난 기술개발력의 뒷받침이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방부 조사에 따르면 일본은 반도체재료와 마이크로전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6월 뱀주인자리는 구상성단 밀집지역. 망원경을 이용해 우리 은하 바깥쪽에 널려있는 별 집단을 관측해보자.여름은 구상성단들을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다. 어둠속으로 황혼이 사라질 때의 6월 밤하늘에는 처녀자리 은하들이 서쪽 하늘에 걸려있고 은하수가 동쪽에서 떠오른다. 남동쪽 하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하이테크기술에 관한한 세계 정상을 구가하고 있는 일본. 최근에는 원자력 항공우주분야에서까지 선두를 넘보고 있다.미국 대 소련은 16대 4. 미국 대 나토(NATO)는 13대 7. 미국 대 일본은 12대 8.무슨 핸드볼 스코어가 아니다. 미국 나토 그리고 일본의 중요 군사기술 수준에 대한 판정결과다. 지난 해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X-30 젱거 호툴 등은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우주 항공기. 우주공간을 마음대로 운행할 수 있는 우주항공기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70년대 유류파동을 거치면서 가속되기 시작한 신소재의 개발과 추진기관의 혁신 및 컴퓨터와 전자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80년대를 항공우주 시대로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해수면이 지금보다 60㎝상승하면 대부분의 임해 산업지대가 물에 잠길지도 모른다.바다와 환경이라고 할때 제일 먼저 생각해 보아야할 것은 바다와 환경이란 낱말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유추해보는 일이다.우선 바다라고 하면 어선, 수만t급의 외항선이 드나드는 ... ...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경시하기 십상인 보안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프린터리본 등 보조기구들. 그러나 이들 때문에 크게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사랑하는 나의 컴퓨터. PC와 프린터를 구입한 사람이라면 이들에게 기계 이상의 야릇한 감정을 느껴본 일이 있을 것이다. 먼저 거금을 들인 주요한 재산이고, 필용한 정보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원자의 구조를 찾는 입자충돌실험 등의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스스로 알맞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미국 국립 페르미 연구소의 물리학자들은 최근 자신들이 만드는 새로운 컴퓨터에 들어갈 부품을 마지막으로 시험하고 있다. 이 부품은 세계에서 계산속도가 가장 빠른 슈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마치 화려한 색동옷을 입고 있는 듯한 토성은 가장 가볍고 가장 많은 위성을 거느린 행성으로 관심을 끈다.토성●질량 5.69×${10}^{6}$㎏●적도지름 12만㎞●밀도 0.7g/㎤●공전주기 29.41년●태양으로부터 평균거리 14억2천5백60만㎞●자전주기 10시간14분~10시간39분망원경으로 토성을 관측한 사람치고 그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첨단 유전공학기술을 해양생물에 적용하는 연구가 70년대 이후 활발해지고 있다.해양생물공학은 지구표면의 7할을 차지하면서도 아직 인류의 미답지역인 해양에 서식하는 생물을 대상으로 한다. 생물이 지닌 각종 물질변환 정보변환 에너지변환의 기능을 직접 간접으로 이용하여 식량 의약품 화학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