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때문이야발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무엇일까. 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시세이도
연구소
의 과학자들은 발냄새를 맡고 또 맡은 끝에 그 물질을 밝혀냈다. 그들은 열 명의 건강한 남자를 모았다. 그 중 다섯 명은 발냄새가 심했고 다른 다섯명은 나지 않거나 적게 났다. 10명 모두 양말을 신은 채 30분간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인의 ‘머스트해브(Must Have)’ 아이템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정현철 유진로봇 기술
연구소
매니저의 말이다.5~10년 뒤 서비스 로봇의 미래5~10년이 지나면 서비스 로봇은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까. 단연 손꼽히는 것은 인공지능이다. 앞으로 로봇의 인공지능은 단순히 주위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나의 목표를 달성했어요. 이토가와 박사가 대학을 떠난 뒤에는 정부 산하 항공기술
연구소
가 실권을 갖게 됐지만 우주개발 초기 도쿄대학의 공헌은 높게 평가 받고 있습니다." 1999년 이토가와 박사는 사망했다. 일본 과학자들은 그의 공을 기려 2003년 발견된 소행성 25143을 ‘이토가와 ... ...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속한 우리 은하에 외계인이 있을 확률이 높아졌어요. 프랑스 파리 천체물리학
연구소
의 아노드 카산 박사 연구팀은 우리 은하에 있는 별 1억 개 정도를 관찰해서 우리 은하에 있 는 항성에는 평균적으로 1.6개의 행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답니다.우리 은하인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등 일련의 우주환경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8월 말에 모스크바에 있는 러시아 우주
연구소
로 운반했다.올해 4월까지 한국과 외국의 많은 연구원들이 최종 우주환경 테스트를 진행하고 위성체에 탑재할 예정이다. 그리고 최소 3년의 우주임무를 위하여 6월 우주로 향해 날아갈것이고 시운전을 ... ...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지난해 12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1초에 무려 1조 프레임을 찍을 수 있다는 초고속 카메라, 펨토 포토그래피다. 1초에 수만 프레임이면 날아가는 총알을 찍을 수 있는데, 이 카메라는 날아가는 빛까지 찍을 수 있다.펨토 포토그래피는 티타늄-사파이어 ... ...
기술 하나로 최고의 기업을 짓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했다. 박 소장은 “이 기계는 이미 국내 반도체 공장, 병원의 수술실, 제약회사, 나노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며 “랩코도 사업을 확장해 더 많은 제품을 만들 날이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독보적인 학생이 된 뒤, 더 좋은 학교의 대학원을 가면 된다. 좋은 대학원에 가면 좋은
연구소
에 들어가 연구할 수 있다. 본격적인 연구는 대학원 과정에서 하기 때문에 대학원도 중요하다.현행 입시의 여러 전형, 그 중에서도 특히 입학사정관전형은 성적이 점차 오르는 변화를 보이는 학생을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마우스 없이 손동작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키모트’를 개발했다. 대학이나
연구소
에서도 저렴하면서 성능이 좋은 게임기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이런 활용 사례가 많아지자 마이크로소프트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나섰다. 2011년 6월에는 키넥트용 개발 키트를 공개해 자유롭게 키넥트 ... ...
하드디스크 용량 100배로 늘어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지워본 경험이 있다면 최근에 나온 연구 결과에 주목해보자.지난달 미국 IBM 알메이든
연구소
의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박사팀은 ‘반강자성체’를 이용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100배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쓰는 하드디스크 저장용량이 최대 3TB(테라바이트) 정도이므로 무려 30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