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비밀로 남아 있게 된 원인은 겨울철 탐험이 거의 없는 데다가 수m정도씩 눈이 덮이고,
여름
철의 경우는 천지의 수면이 겨울철에 비해 1.5~2m높아져 천지 물속에 잠겨 있기 때문이었다. 이 온천은 분출량도 상당량에 이르고 수온도 극히 드물게 섭씨 73도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는데 온천수의 ... ...
즐겁고 유익한
여름
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비스듬히 흐르는 은하수(우리말로는 용이 사는 내라는 뜻에서 미리내)를 따라 내려오면 '
여름
철의 큰삼각형'과 잇닿은 삼각형의 독수리자리와 궁수자리를 볼 수 있다. 은하수의 끝에 이르면 S자를 길게 늘여뜨린 모양을 한 전갈자리를 볼 수 있으며 그 한가운데 붉게 빛나는 1등성인 '안타레스'가 ... ...
여름
방학을 이용한 컴퓨터교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국립과학관에서는
여름
방학을 맞이하여 중학교 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교실을 개최한다. 이미 1차는 7월21일부터 7월31일까지 실시한바 있으며 2차는 8월 4일부터 8월 14일까지 실시된다. 이 기간 중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오후반으로 나누어 각각 1백 30명씩 강의한다 (전화문의 763-1176 ... ...
자연학습장 겸한 휴식처 광릉수목원의 꽃과 나무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4월 21일 공개된 후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있는 수목원은
여름
휴가철의 휴식처로서도 손꼽히는 곳. 7백여만평의 넓은 지역에 우거진 울창한 삼림으로 이름난 광릉의 임업시험장 가운데 서쪽일부(1백50만평)를 수목원으로 꾸민 이곳에는 모두 2천7백75종의 각종 나무와 꽃들이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태양은 중심부에서 3만광년(빛의 속도로 3만년 걸리는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여름
밤에 보는 은하수는 바로 이 은하계 원반의 한 단면이다.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암허셀'은 처음으로 태양이 은하계에 속하는 하나의 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그는 태양이 은하계의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물이 취수장에 들어갈때 1㎠ 크기의 구멍이 난 철망을 통과 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다.
여름
철에는 이단계에서 염소 소독을 한다. 그리고 다음단계가 정수장이다. 정수장에 들어간 물은 먼저 침사지에서 무거운것을 가라앉힌 뒤 혼화지로 들어간다. 여기서는 채 가라앉지않은 불순물을 ... ...
PART2 격렬하고 짧거나,평온하고 긴 두가지의 생존방식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태양의 수백배에 달하며 지구의 공전궤도에 필적하는 1억km 의 반경을 가진 것도 있다.
여름
밤 전갈자리에서 붉게 빛나는 '안타레스'는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적색거성의 예이다. 적색거성은 반경이 크기 때문에 평균밀도는 매우 낮다. 반면에 극히 고밀도의 중심핵은 체적으로는 전체의 1조분의 1에 ... ...
5천년 전에는 분명히 만났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7월7일은 칠석날이다.
여름
밤의 은하수의 양쪽에 갈라져있던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만나는 날이다. 이 전설은 오래전부터 전해져 오는 것이다.실제의 직녀성(거문고 자리의 베가별)과 견우성(독수리 자리의 알타이르별)은 16억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그리고 칠석날에 가까이 접근하여 데이트를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저녁밥을 함께 먹고 있다. 모퉁이 부근의 휴게실에는 나이 지긋한 남녀들이 '서울 1987년
여름
' 이라는 흘러간 영화를 보고 있다.고객유치에 신경쓰는 기업체로 휴양지의 풍경처럼 보이지만, 이곳은 사실 병원이다. 여기에서 사람들은 어머니의 배에서 밖으로 나온다. 병원에서는 사람들의 출생 ... ...
매미, 그길고도 짧은 생애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는 경막에서 소리를 듣고, 더우기 같은 종의 발음진동수에는 매우 민감하다. 올
여름
에도 어김없이 찾아와 낭랑한 울음소리를 들려줄 매미는 한번 울기 위해 얼마나 기다리는가? 매미일생의 특징은 어느곳에 사는것이든 어둠은 길고 밝음은 짧다는 점이다. 숫매미의 구혼가를 듣고 찾아온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