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대장암의 예에서 보듯 p53 유전자를 포함한 염색체 조각이 떨어져나갈 수 있을뿐더러 다양한 위치에서 염기의 돌연변이가 일어나 기능을 상실하거나 엉뚱한 작용을 하는 변형 p53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모든 암 가운데 절반 정도는 p53이 고장난 상태라는 사실이 밝혀졌다.한편 정상적인 p53 ...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닭고기에 결코 뒤지지 않는 단백질과 그보다 훨씬 많은 무기질을 가진 최고급 영양식사다.2. 근육이나 뼈가 없는 애벌레는 어떤 기관으로 움직일까곤충은 골격 근육으로 대표되는 액틴이라는 근육섬유를 수축하고 이완하며 움직인다. 곤충 근육은 빨리 수축하는 근육(파리)과 느리게 수축하는 근육 ...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때 원래의 상태로 얼마나 빨리 회복할 수 있느냐가 결정됩니다. 상반각이 클수록, 양 날개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더 빨리 회복할 수 있게 되죠. 하지만 순간적으로 비행기 몸체가 한쪽으로 많이 기울어져야 하니, 위험성을 무시할 순 없겠죠. 때에 따라 알맞은 비행을 안전하게 하려면,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개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a, b, c)패턴도 짝수 개이고, 그럼 호의 길이가 a+b인 변은 양쪽 다각형에 한 번씩 번갈아 포함되어 결국 같은 개수가 된다. 다른 종류의 변들도 마찬가지이고, 따라서 앞의 풀이에서처럼변의 길이들의 모임이 집합적으로 일치하므로 문제가 증명된다 ... ...
-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세 가지뿐인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생각해봅시다. 이때는 사실 각이 3개 주어진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변의 양 끝 점에서 양 끝 각의 크기를 그리면 만나는 점이 생겨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ASA)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더 많은 요소가 주어질 때를 생각해봅시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을 보세요. 작은 삼각형과 큰 삼각형에서 세 각의 ...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했다. 학생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면을 상상해서 문제를 풀기란 어렵다는 뜻이다.이에 양 대표는 4D프레임 구조물에 종이를 끼워 면을 만들수도 있다고 답하며 4D프레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5월 2일에는 에스토니아의 수도 탈린에 위치한 아하박물관에 4D프레임이 전시됐다.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못한 많은 학생이 매우 어렵게 느낄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조합 문제세 자리 이하의 양의 정수 중 어느 자리에도 1이 나타나지 않는 것들의 평균값을 기약분수 n/m으로 표현했을 때 m+n을 1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여라. (5점) 이 문제는 조합으로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어렵지 않게 ...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흔적(신호)을 찾으면 되는데, 이런 붕괴 확률은 1000분의 1밖에 안 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만약 힉스 입자가 두 경우보다 무거우면 분석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그래도 만약 힉스 입자의 질량이 1TeV/c2 이하면 LHC가 예정대로 가동되는 한 반드시 발견될 것이다. 그러나 그 이상이면 ...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낮을 것”이라며 “또 성체줄기세포를 증식시키면 환자 치료에 쓸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분화된 세포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1998년 인간배아줄기세포가 발견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2세대 줄기세포 치료’의 시대가 막 열리고 있다. 2006년 선을 보인 유도만능줄기세포나 지난해 발표된 ... ...
- 머리 좋아지는 기계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임창환 교수는 tDCS로 머리를 자극할 때 뇌 부위와 자극 방향에 따라 알맞은 양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자동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5월 과학학술지 ‘피직스 인 메디슨 앤 바이올로지’에 게재됐다. tDCS 관련 공학 논문으로는 국내 최초다.tDCS로 정확하게 머리의 어느 부분을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