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비밀 품은 '대칭'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대장정이 펼쳐진다. 수많은 수학자들이 200여 년에 걸쳐 피땀으로 몬스터 대칭군 찾기에
성공
하기까지를 시대순으로 잘 보여 주고 있다.이 책은 어려운 개념을 쉽게 풀어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물론 용어 자체가 쉬운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최대한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누구나 알고 있는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선호도가 낮았다. 한 박사팀은 100% 현미만으로도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떡을 만드는 데
성공
했다. 물론 시간이 지나도 굳지 않는다. 하지만 이 기술을 모든 떡에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래떡이나 인절미처럼 반죽을 치대어 만드는 떡은 가능하지만, 백설기나 무지개떡처럼 곱게 빻은 쌀가루를 쪄 ... ...
쓸모없는 열을 전기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번에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처음으로 열-전기 변환 효율이 뛰어난 물질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 텔루르화납은 적외선 감지기 같은 장치를 만드는 데 쓰는 반도체의 일종으로 온도 차이를 전기로 바꾸는 성질이 있다.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나노크리스탈을 텔루르화납 속에 고루 분산시켜 전자가 ...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원에이(1a)형’의 초신성을 이용해 암흑에너지를 측정하는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는데
성공
했다고 발표했다. 암흑에너지는 전체 우주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주의 팽창을 가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우주가 팽창하는 정도를 알면 암흑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1a형 초신성은 백색왜성이 짝을 ... ...
2010 ‘몰래산타’ 대작전!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2010년 크리스마스이브, 울산에 선물꾸러미를 짊어진 수십 명의 산타가 나타났습니다. 울산을 떠들썩하게 한 산타의 정체는 바로 ‘사랑의몰래산타운동 본부 ... 사이언스메세나의 2010년의 대미를 장식한 울산 사랑의몰래산타운동본부. 작전 대
성공
! 2011년도 사이언스메세나는 계속됩니다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신테카바이오는 임상 연구를 거쳐 이 단백질의 진단기술을 상품화할 계획이다.
성공
하면 병원에서 이 단백질을 이용해 간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게 된다.[1. 프로테오믹스의 대표적 기법인 2차원 전기영동(2DE). 시료를 젤에 넣고 전기를 걸어주면 시료 안의 단백질이 이동해 하나씩 분리된다. 각 ... ...
Part 3.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전략이었다. 그동안 부족했던 영어 공부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 결과, S군은 의대 진학에
성공
했다.애초부터 S군의 진로에 수학자는 없었다. 부모님의 계획에 수학자가 없었다는 게 더 정확할지 모른다. 수학을 열심히 공부하고 잘하기도 했지만, 수학은 그저 도구일 뿐이었다. 수학에 대한 간절함은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느낌이랄까…. 흥미로운 문제지요? 우선 알 수 있는 것은 직선을 4개 그리면 틀림없이
성공
한다는 것이지요. 주어진 정사각형의 네 변을 연장한 직선들을 그리면 되니까요. 따라서 정답은 4개이거나 그보다 작은 값입니다.다음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직선 2개로는 틀림없이 실패한다는 것입니다.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허남정 교수는 자기장에 따라 전기 분극이 완벽하게 바뀌는 다강체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특집 1파트는 초고체를 둘러싼 치열한 공방과, 공동연구를 위해 일본 이화학연구소에 모인 한미일 과학자들의 목소리를 현장 취재해 담았다. 2파트는 상온 다강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보냈다. 1995년 태양전지판을 곱게 접어서 우주에 띄운 다음 원래 모습으로 펼치는 작업에
성공
했다. 태양전지판도 우주망원경과 마찬가지로 크기가 매우 커서 로켓에 넣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은 일본 도쿄대 코료 미우라 교수였다. 미우라 교수는 종이의 특이한 성질을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