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색다른 물리학 책을 새로 썼다. ‘보이지 않는 세계’다.주로 눈으로 정보를 파악하는
동물
인 우리는 탐구 대상이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원자)가 되자 혼란에 빠졌다. 불과 130년쯤 전, 음속의 단위로 우리와 친숙한 유명한 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마하라는 단위가 여기서 나왔다)는 ... ...
400㎞ 떨어진 마다가스카르에 갈 수 있었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바다를 헤엄쳐 건너왔지요. 그리고 박쥐나 올빼미, 잉꼬처럼 날 수 있는
동물
은 호주나 아시아에서 무역풍을 타고 날아왔다는 거예요.그렇다면 나도 뗏목을 타고 갈 수 있을까?수영을 못 하시나 봐요. 그런데 뗏목은 해류에 따라 어디로 갈지 몰라요. 바다에서 평생 떠다니다 어떻게 될지도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나를 찾아달라고 부탁하기 위해서란다. 난 지금 점점 사라지고 있거든. 멸종위기야생
동물
로 지정될 만큼 그 수가 적지만 내가 어디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도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거든. 어디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니 나를 연구하는 것은 물론 보호하기도 쉽지가 않지 ... ...
9개월 아기도 언어 구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앵무새의 소리를 듣는 반응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만 어떤 특정 상황에서만
동물
의 언어 소리와 비언어 소리를 구별할 수 있었다. 아테나 불루마노스 교수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유아들이 정교하게 언어를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언제 언어 인식 능력이 생기는지 알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튼튼한 방탄복은 없을까.중세 이전의 군인들은 적의 칼이나 화살을 막기 위해 쇠나
동물
의 가죽, 두꺼운 천 등으로 만든 갑옷을 입었다. 이런 갑옷은 현대의 방탄복보다 훨씬 무거워서 20~30kg이 넘기도 했다. 하지만 적의 공격을 막으면서도 나 자신은 그럭저럭 공격할 수 있으니 충분히 입을 가치가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려 넣은 무늬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고래와 사슴은 따뜻한 해류와 기후에 번성하는
동물
이다. 반면 맹수들은 모두 추운 지방 출신이다. 그렇다면 기후가 변하면서 생태계도 크게 달라진 걸까.울산 바위그림들과 관련 있어 보이는 것이 신생대 충적세 후기(기원전 3500~600년)의 외계충격설이다.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대부분, 유럽의 상당 부분이 속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상적인’ 젖먹이
동물
입니다.그런데 어른이 돼서도 우유를 마실 수 있는 특이한 사람들이 대다수인 지역이 있습니다. 유럽의 스웨덴, 덴마크, 아프리카의 수단, 그리고 중동의 요르단, 아프가니스탄 등 입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어른이 ... ...
INTRO. 인간과 말 가장 아름다운 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교과서 진화론 내용 삭제 논란으로 시조새와 함께 말의 진화가 화제가 됐다. 고양이만한
동물
이 몇 단계를 거쳐 몸집이 커지고 발가락수가 줄면서 오늘날 말이 됐다는 교과서의 서술 내용이 틀렸다는 것이다. 사실 학계에서는 이미 ‘점진적인 직선형 진화’로 불리는 이 모형을 더 이상 쓰지 않지만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뛸수 있는 능력은 생존과 직결된다.1500만 년 전 쯤 메리치푸스는 초원에서 가장 빠른 초식
동물
이었다. 메리치푸스는 빠른 종분화가 일어나며 최소한 19종의 새로운 종류로 분화했다. 이들은 크게 3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그룹은 세 개의 발가락을 유지하였지만 아주 잘 번성한 히파리온 ... ...
위협을 느끼면 폭풍성장하는 박각시나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잠자리 애벌레는 죽기까지 한다.그런데 포식자가 나타나면 오히려 더 빠르게 성장하는
동물
이 최초로 발견돼 화제다. 주인공은 박각시나방. 미국 퍼듀대 란 카플란 곤충학과 교수 연구팀은 7월 13일 박각시나방 애벌레는 포식자가 근방에 있으면 오히려 체중은 유지하면서 발달과정은 더 빨라지는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