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전세계 수돗물 83% 안에 미세 플라스틱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일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어요.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와 미네소타주립대학교 연구팀이 전세계 14개국의 수돗물을 대상으로 미세 플라스틱이 있는지 조사해 본 결과, 수돗물 샘플 중 83%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어요. 10곳 중 8곳 이상의 수돗물이 오염된 거예요. 가장 많이 검출된 국가는 ... ...
- 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핵실험은 이렇게 강한 지진을 만들어낼 만큼 힘이 세. 실제 무기가 된다면 더 강력해지겠지. 또 어떤 종류의 핵폭탄이냐에 따라 그 위력이 엄청나게 달라지기도 하고 말이야. 그래서 난 가장 강력한 핵무기인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해 왔단다. 가장 무서운 핵무기, 수소폭탄1945년 7월 16일 새벽 5시 2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하로 25km나 파고 들어갔다고 추정돼요. 지난 2014년,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 데스몬드 무저 교수팀은 브레드포트 돔에서 20억 년 된 지르콘 결정을 찾았다고 밝혔어요. 1997년에 처음으로 브레드포트 돔 탐사를 시작한 이후 무려 20년 만의 성과였지요. 지르콘은 지구의 역사를 담고 있는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우주 속 광산, 소행성소행성에는 지구와 태양계 생성의 비밀 이상의 또다른 의미가 있어요. 그건 바로, ‘금속 자원’이에요. 지구에도 자원은 풍부하지만, 지구에 묻혀 있는 무거운 금속 원소는 대부분 중력에 의해 땅 속으로 내려가 맨틀이나 핵에 많이 존재하고 있어요. 현재 채굴 기술로는 이 ... ...
- [과학뉴스] 지진 나면 공중부양하는 건물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9월 5일 일본의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히타치 제작소, 세쓰난대학교 합동 연구팀이 건물을 공중에 띄워 지진을 피하는 장치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는 압축공기를 내뿜는 힘으로 건물을 지면에서 0.06mm 정도 띄운답니다. 맨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얇은 공기층이에요. 하지만 이를 통해 ... ...
-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북한 핵실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안녕? 난 20세기 대표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야. 사람들은 나를 ‘원자폭탄의 아버지’라고도 부르지. 1942년부터 미국에서 시작한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세계 최초의 원자폭탄 트리니티, 리틀보이, 팻맨을 제작하는 연구소장을 맡았기 때문이야. 하지만 사실 난 이 별명을 썩 좋아하지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히익~! 인공지진이 일어났다고? 이거 긴장해야겠는데?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달라서 핵실험의 증거로 꼽히거든. 왜냐면…. 사상 최대 규모의 인공지진지난 9월 3일 12시 29분 58초, 한반도가 세게 흔들렸어요. 서울과 경기, 강원은 물론 경남에서도 지진을 느꼈다는 119 신고전화가 접수됐지요. 이날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내가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한 이유를 이제 알겠지? 게다가 이젠 핵무기를 수송하는 방법도 점점 발전하고 있어. 예전엔 원자폭탄을 비행기에 실어 직접 날랐다면, 이제는 미사일을 원격으로 조종해 원하는 곳에 핵폭탄을 떨어뜨릴 수 있거든. 그게 어떻게 가능하냐고? 작게 더 작게, 멀리 더 멀리!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대기의 산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관측 정확도도 높지요. 한편,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우주항행학과 시모네 다미코 교수는 오리가미 방식의 접는 우주선으로 인공 일식을 계획하고 있어요. 관찰대상은 태양계 밖에 있는 외계행성이에요. 외계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외계행성은 태양빛이 ... ...
-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친구들 안녕! 여기는 열기구 축제가 열리는 곳이야. 각양각색의 화려하고 독특한 기구들이 한자리에 모였군! 그런데 그거 아니? 기구가 과학 연구에도 중요하다는 거! 지금부터 함께 기구의 변신을 만나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Part 1.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