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유전자가위 법정에 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어과동 법정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오늘 재판은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의 죄를 따져보는 시간입니다. 크리스퍼는 지난해 유전자 교정 아기를 만드는 연구에 참여한 죄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이 연구가 윤리적인 측면에서 잘못되었다는 과학자들의 거센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지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친구들도 직접 고민해 주시길 바랍니다. 김형범(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크리스퍼 기술에는 무엇보다 기준이 필요합니다!” 모든 기술은 양날의 검으로, 좋은 점과 나쁜 점을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유전자가위도 이용 목적에 따라 나쁘게 쓰일 수 있지만, 충분히 ...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위원장은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이 맡았고,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포스텍 대학원장), 김정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전 KAIST 연구처장), 이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향숙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전 대한수학회장)가 선정위원으로 참여했다. 선정위원회는 2시간 가까이 ... ...
- [영국유학일기] 현실 대학생이 알려주는 런던 문화생활 즐기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시간을 갖는다. 학기마다 두 차례씩 런던 소재 대학들이 연합 집회를 열기도 해 다른 대학에 다니는 사람들과 알게 되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런던은 정말 즐기고 누릴 것들로 넘치는 도시다. 런던 자체도 훌륭하지만, 영국 전역이나 5만 원 이하의 비행기 티켓으로 갈 수 있는 다른 유럽 ... ...
- [수학뉴스] 편견을 열정으로 이겨낸 소피 제르맹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여성 수학자라고 비웃는 게 두려워 가명을 썼다고 밝혔습니다. 당시에는 여성이 대학에서 공부 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제르맹은 19세기 최고의 수학자들과 편지를 주고받았습니다. 주로 수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이때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관해 열띤 토론을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 곤충 대표 나비 발언! - 나가고 싶지 않아요! 산천어들이 본래 서식지가 아닌 곳에 가두어진다니, 정말 끔찍하네요. 우리 나비들의 사정도 아주 곤란해요. 물론 우린 자연으로 풀려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좋은 게 아니라구요. 기후와 생태에 맞지 않는 나비 축제 매해 4월 말에서 5월 ... ...
-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마리가 모이면 서로 협력해 탑과 같은 멋진 집을 만들고 살아간단다. 191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곤충학자 윌리엄 윌러가 개미 군락의 일개미들이 모여 하나의 생명체처럼 행동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며 무리 지능의 개념이 알려지기 시작했어. 아이하라 교수는 청개구리가 서로 겹치지 않게 ...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때에 따라서는 푸른빛이 이롭게 작용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해 망막에 있는 제3광수용세포가 파란색 영역에 가장 민감하며, 오전에 노출될 경우 각성 등 여러 생리적 현상을 촉진해 높은 각성 상태를 유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청백색의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아닐까 감히 생각해 본다.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하던 대학원생 시절 공학자도 우주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우주인에 지원했다가 시원하게 탈락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았다. 기계공학 분야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뒤, 미국 군수 및 우주산업 회사인 TRW에서 ... ...
- 대학생이 발견했다! 새로운 '소수' 점화식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학 유튜브 채널 ‘넘버파일’에서 소수에 관한 비슷한 공식을 소개한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응용수학과 교수인 그라임에게 검토를 요청했습니다. 그런데 소수를 만드는 점화식과 그 초항은 뭘까요? 공식을 알아내는 건 포기하고 질문을 바꿔봅시다. 이미 알고 있는 소수를 이용해 다음에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