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동짓날 출발한다고 해 ‘동지사’라고 부르던 사신들이 중국 수도에서 이듬해의
달
력을 받아오는 것이다. 그런데 일식의 진행 시간은 서울과 북경에서 관측한 것이 차이가 난다. 두 지점의 경도와 위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세종대왕과 관상감 학자들이 해결하고 ‘칠정산’이라는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것으로 추측된다.또 화성의 반구가 다른 반쪽보다 상대적으로 침하된 사실도, 심지어
달
이 형성된 과정도 모두 소행성과의 초대형 충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오고 있다.가장 최근에 일어난 대충돌 현장은 시베리아에 있다. 1908년 6월 시베리아 퉁구스카 고원을 강타한 소행성(혹은 혜성체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러시아 무인 화물우주선 프로그레스에 실어 ISS로 64Mb(메가바이트)급 FRAM을 미리 보내 두
달
동안 우주환경에 노출시켰다. 내가 할 일은 ISS에서 머무는 동안 FRAM에 데이터를 쓰고 지우기를 반복한 뒤, 오류검사용 메모리를 갖고 돌아오는 일이었다.지구로 돌아온 뒤 전자부품연구원에서 메모리를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뜻의 백악기 후반 수각류.몸길이 10m에 몸무게 3~6t.앞발에는 70cm가 넘는 발톱이 3개나
달
려 있다.평소에 풀을 즐겨 먹다가 다른 공룡이 자기 영역에 침입했을 때 공격한다.아시아(몽골)에서 화석 발견. 다큐에서 점박이와 마지막 결투를 벌인다.공룡 어미가 알에서 깨어 나오는 새끼를 바라보는 장면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논문 4편을 ‘네이처’에 실었다. “논문수도 중요하지만 어려운 주제를 잡아 평생 매
달
리는 일도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식의 연구를 하기 어렵죠.” 연구비를 받으면 어떻게 해서라도 여러 편의 논문을 내야 성과로 인정받는 우리나라 풍토에 안주했다면 이처럼 ... ...
‘데이비드 카퍼필드’ 꿈꾸는 아마추어 마술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등을 조절하는 스텝, 연출과 홍보를 맡은 기획팀으로 나눠 여름방학부터 9월까지 총 세
달
을 공연 준비에 쏟았다. 마술공연을 할 때는 마술사의 실력도 중요하지만 팀원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호흡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김민영(08학번) 씨는 “마술은 일종의 종합 예술”이라며 “음향과 조명, ... ...
숫자 채워 넣기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들어있는 동그라미와 선으로 연결된 모든 동그라미 속의 숫자를 합한 값(1+2+3=6)입니다. 이
달
의 퍼즐 더한 값이 딱 한가지 조합으로 나오는 숫자와 동그라미가 위치한 장소를 먼저 찾아 보세요. 정답을 아시는 분은 ejpark@donga.com으로 12월 15일까지 연락처와 선물수령주소를 함께 적어 보내주세요.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외과의사 봉
달
희’의 보조작가로 활동하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현재 대한의학회에서 건강정보심의위원회 실무위원을 맡아 잘못된 건강정보를 바로잡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별하늘지기’ ‘별아름’ 같은 아마추어천문 동호회 정회원이다. 독자사진 지난
달
수상작 박혜영 씨의 ‘대마젤란과 소마젤란’. 호주 서부 사막에서 대마젤란은하(가운데 구름 같이 뿌연 부분)와 소마젤란은하(오른쪽 위 모서리)를 찍었다. 보면 장수한다는 전설이 있는 노인성(왼쪽 아래 밝은 ... ...
이공계 희망 쏘는 과학영재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010년 광주과기원에 학사과정이 신설됨에 따라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는 판단이다. 11월 한
달
동안 심사과정을 걸쳐 12월 중 전환 대상 학교가 최종 선정된다. 영재학교 전환과 별개로 광주과학고는 2010년 3월 광주과기원 인근으로 옮긴다. 이 부근에는 과학관, 생산기술연구원, 광주테크노파크,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