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우리나라에선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이 모두 맞아떨어지기 어려워요. 그래서 두루마리 눈을 관찰하기 어렵지요. 하지만 미국 북부 지역이나 캐나다, 북유럽에서는 이 세 조건이 완벽하게 맞는 때가 있어 종종 볼 수 있답니다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장치예요. 이 장치는 게임기에 연결돼 있어 안경을 쓰듯 눈에 착용하면 가상의 영상이 눈앞에 펼쳐지지요.이때 시야각은 100˚나 돼요. 사람의 시야각은 한쪽 당 45˚씩 총 90˚ 정도이기 때문에 시야각이 100˚가 되는 오큘러스 리프트를 쓰면 마치 게임 세상 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같은 과정을 따라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순서도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다. 순서도는 기호와 도형을 사용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논리적인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화분에 물을 주는 프로그램의 순서도는 오른쪽과 같다. 그런 다음 ‘태스크’라는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을까? 갤리번의 공식과 실제로 종이를 접었을 때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하고 공식을 좀 더 정확하게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던 조민지 학생은 “계산은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았다”며 수줍게 웃었다. 종이를 열 번 남짓 접으려면 40장이 넘는 전지가 필요한데, ‘전지를 ... ...
- 한눈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수학동아 l2016년 01호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인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흥미롭고 유익한 과학 정보를 발굴해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상과 사회를 과학의 눈으로 보고 비판적으로 다시 생각하는 기사도 꾸준히 게재한다. 과학과 기술은 사회와 그 안의 사람과 절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믿으며, 그것이 과학과 사회의 건전한 긴장 관계라고 믿는다.마지막으로,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도달하지 못한 지금 결론을 내리기엔 성급하다는 생각도 든다.물리학의 역사를 큰 눈으로 바라보면 통합과 일반화의 역사로 볼 수도 있다. 이전에는 전혀 다른 기원을 가진 현상으로 보였던 자기 현상과 전기 현상 그리고 광학 현상을, 전자기학으로 통합시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19세기 맥스웰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결과를 1983년에 내놨다.스키비 교수의 계산은 질량을 가지고 운동하는 모든 입자는 비록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진동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프랑스 물리학자 루이 드 브로이에 따르면 질량을 갖고 운동하는 모든 물질은 고유한 진동수를 갖고 진동한다. 액시온이 존재한다면 자신의 질량에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쓰는 ‘착한 다운’마음에 드는 인공충전재 패딩을 찾을 수 없다면, ‘착한 다운’에 눈을 돌려보자. 미국의 비영리 유기농 섬유 전문 협회인 TE(Textile exchange·섬유거래)는 2014년 RDS(Responsible Down Standards, 책임 다운 표준) 제도를 발표했다. 점퍼에 쓰인 다운의 주인, 그러니까 털을 제공한 거위나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끈 파블로 데베네데티 교수는 상자 모양이 훨씬 안정적이고, 표면적이 넓어 다른 눈 결정이 달라붙기 쉽기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이제 궁금증이 해결됐나요? 다른 독자 여러분도 생활 속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왠지 수학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이 들 때 사연과 함께 의견을 이메일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