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4,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날로그와 디지털과학동아 l199905
- 5V의 중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는 신호가 왜곡되더라도 1이 0으로 바뀌는 일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으며 혹시 부분적으로 변질되더라도 전후관계를 이용해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기록에서 음성이나 영상정보가 선명하게 재생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 ...
-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과학동아 l199905
- 초승달과 쌍둥이자리서 만나는 멋진 모습을 연출한다. 금성의 밝기는 1등성의 1백배인 -4.0등급. 달과 금성의 거리는 약 6.5도이다.날이 맑다면 작은 망원렌즈로 이 모습을 찍어보자. 지구에서 반사된 빛으로 신비스럽게 보이는 달의 모습이 찍힐 것이다 ... ...
- 광기록 매체과학동아 l199905
- 심지어는 수백 GB 용량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도 모색되고 있다. 기록된 부분이 지금처럼 0 또는 1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0, 1, 2 등 여러 값을 갖도록 하면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금처럼 디스크의 한 층에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에 정보를 ...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과학동아 l199904
- 차원이기 때문에 길이는 갖지 못한다. 길이가 0이 되는 점들의 집합체이므로 언뜻 보기엔 0차원으로 생각되는데 흥미롭게도 소수의 차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칸토어 집합과 단순한 점들의 집합체는 서로 다를 것이라는 것은 당연하다.코흐곡선 (Koch curve)1904년 헬게 폰 코흐에 ...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과학동아 l199904
- 있는 4개의 3등성이 바로 까마귀자리다. 사다리꼴을 이루는 다른 네 별은 각각 2.6-3.0등급으로 스피카를 제외한다면 봄철 밤 남쪽하늘을 장식하는 가장 밝은 별들이라 하겠다. 까마귀자리 오른쪽에 있는 컵자리는 좀더 어두운 별자리로, 왼쪽으로 기운 거대한 컵모양으로 별들이 이어진다. 가장 밝은 ... ...
- ②감자, 당근, 무의 달리기 시합과학동아 l199904
- 들어있다. 포유동물의 경우에는 적혈구와 간 속에 많이 있다. 분자량은 약 24만8천이고 0.09%의 철을 함유한 일종의 단백질이다.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힘이 매우 커서 1분간에 약 5백만 개의 분자를 분해한다. 이것은 현재 알려져 있는 효소 반응중 가장 빠르다.인체에서 카탈라아제는 호흡작용의 ...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199904
- 하지만 암흑물질의 기여도는 ${Ω}_{0}$≃0.3±0.1 정도다. 그렇다면 우리는 ${Ω}_{0}$≃0.65±0.1에 해당되는 양을 진공에너지에 기댈 수밖에 없고, 우주상수의 역할은 중요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그렇다면 우주항은 아인슈타인의 실수가 아니었던가? 아인슈타인의 억지는 ...
- 우주가 팽창한다과학동아 l199904
- 있는지를 살피는 것. 그런데 시작한지 불과 1년도 안돼 그는 마침내 일을 내고 말았다. 1930년 2월 18일 로웰이 예언했던 지점에서 7도 정도 떨어진 곳에서 명왕성을 발견한 것이다. 이 사실은 3월 13일 공표됐다. 이때 톰보의 나이는 24살이었다. 톰보는 1932년 캔사스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할 때까지 13년 ...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과학동아 l199904
- 초기에 은하가 태어나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에 태어난 관측우주론은 20세기 말에 이르러 꽃이 피기 시작했는데, 21세기에는 만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Ⅱ. 분자세계의 좁은문 분리막과학동아 l199903
- 방법이 발견된 지 1백년이 넘었다. 하지만 실제로 적용된 것은 1950년대부터 이므로 4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 신기술이다. 그렇다면 분리막 연구의 출발점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소금물이라는 이유만으로 지표상의 2/3나 덮고 있으면서 활용되지 못한 바닷물을 이용하려고 하면서부터다. 또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