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뉴스
"
지금
"(으)로 총 10,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전력수급 불안에 대한 근원적 대책이 필요하다
2021.07.21
하루 전의 공급능력은 70.0GW였고, 예비력은 11.4GW였다. 예비율은 무려 19.4%나 됐다.
지금
의 기준으로도 걱정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 그런데 하루 만에 상황이 완전히 달라져 버렸다. 최대 전력소비가 갑자기 8.5GW나 늘어나면서 공급 예비력이 3.3GW(예비율 5.0%)로 곤두박질쳐버렸다. 대정전(블랙아웃)에 ... ...
코로나19 신규 확진 1784명 역대 최다 1주일 만에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악화한 환자는 전날보다 7명 늘어 214명이다. 이날 격리 해제된 환자는 1287명으로
지금
까지 총 16만1634명이 격리치료를 받은 뒤 집으로 돌아갔다. 현재 병원과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치료 중인 환자는 1만8571명이다. 전날 하루 신규 검사 건수는 4만6690건으로 하루 전날 4만9553건보다 2863건 줄었다. ... ...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뭐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날아올랐다. 최고 상승 고도가 각각 달라 어떤 것이 진정한 우주비행이냐를 놓고 논란이
지금
도 이어지고 있다. 뉴 셰퍼드는 약 10분 전후의 짧은 여행을 진행하는 반면 VSS 유니티는 이륙에서 착륙까지 걸리는 시간이 90분으로 길다. 하지만 우주 경계 부근에서 무중력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은 둘 ... ...
베이조스가 탑승할 뉴 셰퍼드엔 우주발사체 중 가장 안전한 탈출장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들어와 귀환하게 된다. 레이 수석책임자는 "뉴 셰퍼드에 마련된 탑승 캡슐은
지금
까지 설계된 것들 중 가장 안전한 우주 비행 시스템"이라며 "만약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백업 시스템이 있어 문제 없다"고 설명했다 ... ...
'바이러스 여름에 힘 못쓴다' 정설 깨뜨린 코로나19 전파력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5~10년에 걸쳐서 코로나19가 계절 독감처럼 계절성으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그때는
지금
처럼 팬데믹을 일으키기 보다는 바이러스가 생존하기 좋은 매년 겨울마다 유행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가 감기처럼 비교적 순한 바이러스가 되려면 먼저 수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사람은 더위를 어디까지 견딜까
2021.07.20
NASA) 제공 "기후 변화 속도와 여러 생리적 제한을 놓고 볼 때, 사람 생리가
지금
의 한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견딜 만큼 진화할 것 같지는 않다." - 카밀로 모라 외, 학술지 ‘네이처 기후 변화’에 투고한 논문에서 지난달 말 캐나다 리턴란 곳의 온도가 49.5도까지 치솟았다는 외신을 보고 고개를 ... ...
[카드뉴스]인류는 우유 마시는 어른 되기 위해 진화 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약 1만 년 전 이후로,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어쩌면 우유 마시기가 세계화되고 있는
지금
도 인류는 우유를 마실 수 있는 어른이 되기 위해 진화 중일지도 모릅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012년 8월호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 ...
뜨거운 날씨로 점점 높은 하늘에 뜨는 구름, 온실효과로 지구온난화 더 가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될 것이며 구름이 이 같은 현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왁 펠로우는 “
지금
까지 연구 중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특정 지역 구름 유형이 아닌 전 지구적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며 “구름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증폭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 오디오 도슨트 '모모'와 전시 감상공유 앱 '모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김황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학과 교수와 박영우 교수팀이 개발한 오디오 도슨트 '모모'와 전시 감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이'.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황 디자인학과 교수와 박영우 교수팀이 개발한 오디오 도슨트 ‘모모’와 전시 감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 ... ...
열대야에 몸 젖는 밤, 땀으로 전기 만든다...10시간 자고나면 손목시계 하루 사용량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누를 때마다 전기를 생산한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씨넷은 “
지금
까지 개발된 대다수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효율은 1% 수준에 머물렀다”며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누를 때 0.5mJ의 에너지가 들지만 이때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는 30mJ이어서 투입 에너지 대비 6000%를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