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들 수는 없다는 생각에 시도조차 하지 않고 포기했거나, 간단한 가능성만 확인하고 완성시키지 않은 채 중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 관건은 차별화된 결과를 내는 것이다. 별다른 전문지식이 없어도 오픈소스의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 있다. 지난해 이화학연구소는 일본 기초과학 연구의 저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모리타 고스케(森田浩介) 이화학연구소 그룹장 겸 규슈대 교수가 발견한 113번 원소가 ‘니호늄(nihonium)’으로 공식 결정됐기 때문이다. 니호늄은 일본의 자국어 발음인 ‘니혼’에서 따왔다. 주기율표의 원소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를 촬영했다.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촬영한 사진을 확인한 그가 ‘비늘개미’가 맞다고 확인했다. “이 군체는 이미 월동 준비가 끝난 것 같아요.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진 상태에요.” 동 씨는 핀셋으로 개미를 네 마리쯤 집어 새끼손가락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무리하게 채집하면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신호가 발생해도 그 신호의 진동수에 따라 전혀 다른 경로로 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김 연구원은 이 내용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준비 중이다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유류 ‘삵’, 천연기념물 조류인 ‘팔색조’도 이번 탐사를 통해 선운산에 사는 것이 확인됐답니다.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닌자거북’ 팀의 제갈준(대전 샘머리 초 3) 대원은 “버섯 탐사와 조류 탐사가 특히 즐거웠다”며, “생각보다 더 많은 생물들이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 ...
- [과학뉴스] 흡연이 대장질환 유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동하며, 이 세포가 분비한 단백질(인터페론 감마)이 대장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유전적으로 Th1 세포와 인터페론 감마 단백질이 결핍된 쥐는 흡연에 노출돼도 대장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배 교수는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흡연과 대장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며 “크론병과 ... ...
-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잎 뒷면에 있는 기공의 양옆에 잉크를 발라 식물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센서를 만들었다. 식물은 기공을 여닫으면서 숨을 쉰다. 기공을 열고 공기를 내뱉을 때 물이 증발하는데, 수분이 날아가면 식물 내 수압이 떨어진다. 그러면 식물은 흙 속으로 뻗은 뿌리를 통해 물을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돌아갔다. 2차원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직원들의 업무 효율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클라우드로 위치 확인, 장애물은 로봇이 확인어라운드와 에어카트는 첨단 로봇 기술을 일상생활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두 로봇 개발을 총괄한 네이버랩스 관계자는 “어라운드의 경우 기능적인 면에서는 비슷한 로봇이 전 세계적으로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FFA·Fusiform Face Area)’이라고 부른다. 이 부위의 존재는 1997년 fMRI 촬영으로 처음 확인됐다. 하지만 이 부위에 있는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원리로 얼굴을 구분해내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뇌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세포’가 얼굴을 인식하거나 기억하는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