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올해 내내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던 갑작스러운 비를 완벽하게 예측한 사람임을 밝혔다. 처음에는 기상청에서도 시청에서도 아무 반응이 없었지만, 1주일, 2주일이 지나는 동안 내가 또다시 비가 내리는 것을 정확히 맞히자, 형식적인 내용의 알맹이 없는 답변이라도 답변을 보내기 시작했다.그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되면 인터넷에서 찾아보거나 유튜브에서 동영상 강의를 들으며 해결했다.“2014년 2월에 처음 제작한 앱을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했는데 기능이 단순하고 초라해서 인기가 없었어요. 점점 실력이 늘어 앱을 발전시키다 보니 지금은 꽤 인기가 많아요. 동료 교사들도 수업에 활용하고 집에서 이 앱을 ... ...
- [포토 뉴스]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 테스트 현장 첫 공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모습을 공개했다. 하이퍼루프는 스페이스X와 테슬라의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가 2013년 처음 제안한 미래형 운송수단이다. 하이퍼루프의 기본 원리는 진공에 가깝게 기압을 낮춘 긴 튜브에 사람이 탑승한 유선형 동체를 부상시켜 주행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속도를 시속 1200km까지 낼 수 있다.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었던 것 역시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 덕분이었다.이런 ‘전기 식물(e-Plant)’이 처음 등장한 것은 불과 반년 전이다. 지난해 10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화학공학과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은 폭탄이나 지뢰에 주로 쓰이는 질화방향족을 감지하는 시금치를 개발해 ‘네이처 ... ...
-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하지만 그 전에, 뉴트리아는 모피용, 그리고 식용입니다. 1980~1990년대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도 이런 목적이었죠.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씨는 1월 30일 자신의 SNS에 “(뉴트리아는) 고기가 맛있다. 거의 모든 부위에 지방이 가늘고 촘촘하게 박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뉴트리아가 기생충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순간에 발동되기도 하고, 외부 자극의 미세한 차이를 인식해 변하기도 한다.장소세포를 처음 발견한 지 46년이 됐다. 하지만 아직도 다른 네 종류의 내비게이션 세포들과의 정확한 상호작용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는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로얄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된 것도 새롭고 재미있을 것 같아서였다고 한다. 정 교수는 “그런데 전기화학 분야가 처음 생각했던 것과는 많이 달랐다”며 “하지만 어느 직업이든 견습 기간이 있는 것처럼, 조금 하다가 힘들다고 쉽게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다보니 어느새 이 분야의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대인에겐 없어서는 안 될, ‘귀로 먹는 치즈케이크’가 분명하다. 그런데 사실 이 말을 처음 쓴 미국의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의 의도는 전혀 달랐다. 음악이 진화적으로 생존이나 번식에 밥과 달리 쓸모가 없다는 뜻으로 한 말이었다. 음악이, 단 음식을 좋아하도록 진화한 우리의 신경회로를 보다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런 행사를 기획한 이유는 수학의 재미도 알리고, 기부도 활성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처음부터 여러분의 재산을 빼앗을 생각이 없었습니다. 저는 상금으로 준비한 100억을 기부합니다. 저와 뜻을 함께 할 분은 단 돈 1000원이라도 기부해 주세요! 또 알면 이기고 모르면 지는 비이행성 주사위를 직접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색 문제(또는 4색 정리)를 처음 제기한 사람은 1852년 당시 20대였던 프랜시스 구드리입니다. 이 문제를 동생인 프레데리크 구드리에게 알려줬고, 대학생이던 동생은 오거스터스 드모르간 교수에게 이 문제에 대해 물었습니다. 드모르간은 문제가 흥미로워 동료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에게 그 내용을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