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별침식이 만든 처마 청량산 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만큼 기막힌 풍경을 연출한다. 특히 안팎으로 각각 6개의 암봉이 연꽃잎 모양으로 산
중심
부를 감싸고 있는 육륙봉(六六峯)은 예부터 그 명성이 자자한 청량산의 상징이다. 청량산 암봉은 역암(礫岩)으로 만들어졌다. 암봉 가까이 바짝 다가서면 바위 곳곳에 주먹에서 사람머리 크기만한 자갈이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판을 친다. 이 현상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산업·기술
중심
주의적 사고에서 문화
중심
적 사고로 빨리 전환하지 않는다면 가까운 미래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역설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것이다. 방송·통신 하드웨어의 지나친 공급이 사회적 파탄을 불러올 것이란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일상생활에서 우리에게 영상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의
중심
에는 브라운관, 즉 CRT(Cathode Ray Tube)가 있었다. 당시엔 세상의 모든 TV가 CRT일 정도로 CRT는 TV시대를 지배했고, 언제까지라도 영상시대를 이끌 것만 같았다.그러나 21세기로 넘어가며 그 지위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100년이 넘는 역사의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00년은 우리의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시대가 돼야 할 것이다. 즉 한국 농업이 세계 속에서
중심
을 잡고 우뚝 서기 위해 국제적 표준(global standard), 국제적 참여(global participation), 국제적 지도력(global leadership)을 갖추는 ‘농사직설’을 다시 써야 한다.네덜란드와 이스라엘이 정상급 원예 산업을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의 영토가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으로 한정돼 있지만 우리 역사
중심
의 한 축이 만주에서 이뤄졌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최근 고구려의 건국을 다룬 사극 ‘주몽’이 인기리에 방송 중이다. 9월 초에는 발해의 건국 시조를 극화한 ‘대조영’도 방영될 예정이라고 한다. ... ...
쥐불놀이와 전자운동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모델이 제시하는 반지름이 ${a}_{0}$인 궤도를 따라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원자핵을
중심
으로 공간적으로 어디나 존재할 수 있다. 모든 것이 확률이기 때문에 전자는 원자핵에 아주 가까이에도 혹은 아주 먼 곳에도 있을 수 있다. 다만 알 수 있는 것은 전자가 공간적으로 어느 곳에 있을 확률이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정교한 집을 짓는다. 개미는 땅 속에 굴을 파서 집을 짓고 산다. 여왕개미 한 마리를
중심
으로 건설된 개미 왕국은 수십 미터 길이에 수백 개의 방이 있을 정도로 복잡하다.땅 속에 묻혀 보이지 않던 개미의 생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과학완구가 나왔다. 바로 2005년 타임(Time)지가 선정한 10대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이러한 고사리의 전체적인 모양이 각각의 가지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즉, 가지 또한
중심
줄기 양쪽으로 돋아난 작은 잔가지로 이루어진다. 잔가지도 아래쪽에서 가장 크고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삼각형 모양이다. 큰 고사리 줄기 안에 그와 닮은 작은 고사리 줄기들이 들어있는 셈이다. 내 안에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별자리 동서남북 각 방위마다 7개씩을 배당했다 별자리마다 위치 표시의 기준이 되는
중심
별을 정해두었다중력에 의한 액체의 위치에너지 차이와 액체 분자간의 인력으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연속해 끌어내릴 수 있는 원리다자연에 들어 있는 대칭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두 대상이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나타난 동심원의 일부였던 셈이다.그는 이 원판을 에어리 디스크라 명명하고 별의
중심
에서 첫 번째 어두운 지점이 나타나는 곳까지의 거리를 수식으로 표현했다. 이 반지름이 에어리 디스크 크기로, 천체망원경으로 밝은 별을 보았을 때 볼 수 있는 원판의 크기다.이 수식은 r (에어리 디스크 반경)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