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연구소에서 출발한 JPL은 얼마 뒤 연구용 로켓 엔진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현재의 위치로
자리
를 옮겼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1958년 NASA에 소속됐지만 여전히 칼텍의 관리 아래 있고 직원들 또한 대학에 고용돼 있다. 그래서인지 연구소임에도 불구하고 JPL은 대학 캠퍼스 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다양한 가공식품을 만들어내고 있지요.” 라면회사에 8년간 다니다가 1993년 풀무원으로
자리
를 옮긴 손상수 팀장은 MSG없이 맛을 내는 노하우를 슬쩍 들려줬다. 소위 ‘감칠맛’을 내는 향미 증진제는 아미노산 계열인 MSG말고도 핵산 계열인 IMP와 GMP가 있다. 이들을 함께 쓰면 음식의 풍미가 훨씬 ... ...
LHC, 왜 멈췄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CERN은 이번 사고와는 별도로 지난 10월 21일 전세계 국빈들을 초청해 LHC 완공을 축하하는
자리
를 가졌다. 국내에서는 최영일 CMS사업단장(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이 초청돼 CERN이 있는 스위스 제네바에 다녀왔다 ... ...
종이 없는 지구의 주인, 전자문서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 있을까?0과 1로 이뤄진 전자문서머지않아 정말 종이가 사라질 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자리
를 전자문서가 차지할 수도 있다. 이미 한국의 전자정부 시스템은 전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유엔 190여개 회원국 중 한국의 전자정부 준비 지수는 세계 5위로 평가받는다. 최근 의료 분야의 움직임도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종의 기원’을 비롯해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윈 관련 도서 30여 종, 다양한 유물도 한
자리
에 모았다. 이 가운데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명예연구원인 장순근 박사가 공개한 유물로 다윈이 수집했다는 타조 알껍데기가 눈에 띈다.또 다윈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거북이자 멸종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되지 않았다면 무슨 일을 하고 있었을까?나는 물리학을 생각하며 일어나고, 잠
자리
에 든다. 다른 일은 상상할 수 없다. 물리학이 직업이자 취미다. 어릴 때부터 과학이 좋았고 지금 이 순간도 추상적인 수학 모델로 자연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에 감동을 느낀다. 가끔 연구로 심신이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오늘은 비록 연주자의 한 사람으로 이
자리
에 섰지만 다음엔 수상자의 한 사람으로 이
자리
에 설 것을 약속드립니다.”‘꿈보다 해몽’이라고 나는 그날 연주보다도 내가 한 이 멘트 때문에 회사에서 유명해졌다. 부산의 한 작은 점포에서 여성용 크림을 사기그릇에 넣어 팔다가 이것이 잘 깨지는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나무 꼭대기나 절벽에 있는 새집은 천적이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끼는 보금
자리
에서 어미의 보호를 충분히 받으며 살아도 된다. 굳이 털이 빨리 나서 둥지를 떠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반면 모래나 자갈, 물 위에 둥지를 짓는 새는 새집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 ...
도형 속 숫자들의 규칙 찾기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홀수가 있는지를 봅니다. 만약 그렇다면 마지막 계산이 곱하기는 아닙니다.③ 어떤
자리
에 있는 수들이 모두 다른 위치에 있는 수보다 크다면 다른 수들의 곱하기나 더하기가 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④ 주변 수들을 사칙연산으로 아무리 조합해도 알맞은 규칙을 찾을 수 없다면 뭔가 다른 기법이 ... ...
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구사해도 살아가는데 불편함이 없다. 그러나 최근 세계화 바람이 불면서 국제 공용어
자리
에 오른 영어를 습득하는 일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듯하다. 이런 현상이 과연 바람직한가에 대한 논의는 일단 미뤄두고 모국어에 다른 언어가 함께 있다면 언어의 기능과 역할에 어떤 변화가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