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 맡는 능력이 인류를 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네안데르탈인이 사라지고 호모 사피엔스가 번성한 이유가 냄새를 맡는 능력 때문이래요. 독일 튀빙겐대학교의 카테리나 하르바티 교수가 참여한 국제 연구 ... 멸종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연구팀은 인류가 사회적으로 진화하는데 후각이 중요한
역할
을 했을 거라고 결론을 내렸어요 ... ...
몸을 왼쪽으로 기울이면 에펠탑이 작아 보인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몸이 기우는 방향에 따라 숫자와 관련된 질문의 대답이 달라질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직선처럼 작은 숫자가 왼쪽에 있 ... 미치는 영향을 보여 주는 결과”라며, “앞으로 의사결정에 있어 인체가 담당하는
역할
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앞을 볼 수가 없었다. 큠 교수는 FoxC1 유전자가 쥐 각막 내 혈관 발달을 막는 ‘수비수’
역할
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FoxC1 유전자는 쥐 뿐만 아니라 사람의 각막 내 혈관 형성 역시 막는다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부족해충돌 결과는 ATLAS와 CMS라는 두 개의 검출기로 관찰한다. 이 둘은 크기는 다르지만
역할
은 비슷해 서로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해준다. 힉스는 수명이 매우 짧아 직접 관측할 수는 없다. 약 1조 분의 1초 만에 더 가벼운 입자로 붕괴하는데, 질량에 따라 다양한 입자의 조합으로 붕괴한다. 따라서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할 수 없어. 유전자는 혼자서 그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유전자에 따라 하는
역할
이 달라지기도 하거든. 예를 들면 물고기의 아가미를 만드는 유전자가 인간에서는 허파를 만들게 한단다. 이 두 가지 문제만 해결된다면 용을 찾으려 애쓰지 않아도 생명공학 기술로 바로 만들 수있지.”"용을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관계는 주변에서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까지 연결시켜 줘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데 큰
역할
을 한다.미국 노트르담대의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가 만든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트위터에서는 팔로우가 많은 사람도 영향력이 크지만 좋은 정보를 잘 전달하는 사람이 더 영향력이 크다. 유용한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 수 있다. 즉, 1을 이용해 자연수라는 큰 집합을 만드는 것이다.이런 숫자 1의
역할
은 19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주세페 페아노가 자연수 집합을 정의하기 위해 제시한 페아노 공리계에서 잘 드러난다. 수학에서 공리란, 어떤 이론의 기초로서 증명 없이 받아들이는 명제를 말한다. 이게 도대체 ... ...
보기에도 몸에도 좋은 새싹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물을 넉넉하게 주는 새싹채소를 기르면 집안의 습도를 적당히 유지시켜 주는 가습기
역할
도 하거든. 새싹채소와 함께 올 겨울을 활기차게 보내는 건 어떨까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달라붙어서 아주 곤란한 상황이 되거든. 이렇게 확보된 공간은 라면을 끓일 때도 아주 큰
역할
을 해. 면발 사이사이로 열과 수분이 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돕거든. 그러면 면발 속에 있던 지방이 빠르게 녹아 나오면서 양념이 골고루 배일 수 있지.둘째, 라면을 많이 담기 위해서야! 라면의 면발은 ... ...
산타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것 아냐?비행기 바퀴에는 스스로 굴러가도록 돕는 동력장치가 없어서, 잘 구르고 잘 서는
역할
만 해요. 동력이 없어도 뒷바퀴에는 브레이크가 달려 있어요.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ABS 장치가 달려 있죠. 비행기 장치로 개발했다가 자동차에도 쓰는 장치예요. ABS는 1초에 수십 번이나 브레이크를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