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는 위아래로 두 칸에 사람이 탈 수 있다. 마치 2층 버스처럼 위아래 층이 함께 붙어서 이동해 한 번에 더 많은 사람을 실어 나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만큼 무게도 엄청나서, 다 합치면 20톤이 넘는다. 이렇게 무거운 엘리베이터가 1분에 600m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비밀은 ...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시작으로 위아래 좌우 모두에서 ‘SANCTA’를 찾을 수 있어요. 또 ‘E’를 시작으로 아래로 7글자를 보면‘ECLESIA’을 찾을 수 있지요. ‘SANCTA ECLESIA’는 ‘신성한 교회’라는 뜻이에요. 이 단어가 몇 개나 있는지 한번 세어 보세요. 그 재미도 쏠쏠합니다. 중세의 미로는 미노타우로스가 갇혔던 ...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적습니다. Q에선 P, R, S로 갈 수 있지만 결국 다 막힌 길입니다. 따라서 Q도 D의 위나 아래에 적습니다. F는 D의 오른쪽에 적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알파벳을 나타내면 미로 그래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다 나타내고 보니 출발점 A에서 도착점 T까지 가장 빨리 방법은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쓰이기도 한다.한편 작다는 것을 나타낼 때는 나노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나노는 소수점 아래로 9번째 자리에 1이 붙는 작은 수다. 나노라는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난쟁이 ‘나노스’에서 가져왔다.나노는 마이크로보다 1000분의 1만큼 작고, 밀리보다는 100만 배나 작다. 머리카락 1가닥의 ...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편지벌써 스님이 떠나신 지 3일째야. 마지막 편지를 찾아보자. 연못 옆 가장 큰 돌멩이 아래에 두셨다고 했어. 빨리 가 보자.와~! 연못에 핀 연꽃이 정말 예쁘다. 그런데 연못 옆 가장 큰 돌멩이라면 여긴데…. 앗! 찾았어. 스님이 두고 가신 편지야.마지막 편지구나.오늘은 너희에게 과제를 주려고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내 거울뉴런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 보는 건 어떨까? ▲ 거울뉴런(별표)은 전운동피질 아래, 두정엽 아래, 측두엽앞쪽 등 뇌의 세 곳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악취를 맡았을 때(붉은 선)와, 악취를 맡는 장면을 봤을 때( 노란선) 뇌의 같은 부분이 활성화된다.내 주장은 당당하게!학교에서 친구에게 ...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피보나치 수열의 완벽한 형태죠. 잎은 이러한 각도와 규칙으로 날 때 위에 있는 잎이 아래 잎을 가리지 않고 햇빛을 최대한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덕분에 나무그늘에는 햇볕이 거의 들지 않아 여러분이 편하게 쉬어갈 수 있답니다. 선인장 나선의 비밀 선인장에는 세 가지 종류의 나선이 함께 ... ...
- 마피아 조직의 싸움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전해 달래요.” “선생님, 빨리요. 이거 뜰채로 건질까요? 그런데 웬 쪽지예요?”아래의 숫자 중에서 적당히 뽑아 네 자리 숫자 두개를 만들어라. 단, 두 수 중 한 수는 다른 수의 2배며 두 수를 더해 14 □ 13이 되도록 하라. 그리고 그 주소로 찾아와라. 6 0 4 7 2 6 9 7 4 1 5 “이거 혹시? 코사노스트라 ...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계산하고 수많은 기어와 톱니바퀴를 맞춰가는 일을 마다하지 않았다.타운스의 지도 아래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짐 고든은 결국 1953년 말에야 유도방출된 마이크로파의 증폭 과정을 관측한다. 그리고 1954년 5월 1일, 마침내 타운스는 미국 물리학회에서 자신들이 만든 장비가 마이크로파 증폭에 ...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한다. 철새연구센터만 해도 채 센터장과 함께 원년 멤버인 홍길표 팀장과 그 바로 아래 세대인 김성진 연구원이 9학번이나 세대차가 난다. 국내에 박사 과정조차 없고 환경이 열악한 외딴 섬에서 연구를 해야 하는 환경도 젊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계속 이어나가게 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