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중원소가 늘어날수록 분자운이 쉽게 뭉쳐 더 작은 별이 태어나기 쉬워진다. 윤성철
서울
대 천문학과 교수는 “아주 초기 은하에서 종족III가 태어났다가 소멸한 뒤 종족II가 생기는 과정과 함께 은하도 점점 커지며 발달해 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말했다.별 탄생이 점점 활발해지면서 정점을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하면 글자들은 어지럽게 춤을 추며 그의 눈길을 피해 도망다닌다. 그러나 김성찬
서울
탑마을클리닉 원장은 “극중 소지섭 씨가 글씨를 못 읽는 원인은 난독증이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어릴 적 끔찍한 기억 때문에 무의식이 글자 읽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김 ... ...
자동차 속에 숨은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편안한 승차감의 비밀은?섭섭1호 운전석을 좀 더 편안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의자 다리 대신에 용수철을 쓰면 어떨까? 침대처럼 말이야. 침대 매트안에도 용수철이 여러 개 들어있어서 누우면 편안한 느낌을 주잖아하지만 용수철은 탄성 때문에 계속 위 아래로 왔다, 갔다 하는걸?그런 ... ...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전산(원자)로 물리란? 컴퓨터 코드와 원자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물리적인 현상을 컴퓨터로 계산하고 해석하는 일입니다. 원자로 내에서는 핵연료들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배열이 돼야 골고루 반응이 일어나고 출력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열을 설계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 ... ...
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도시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밀어 올려 또 한 층을 짓는다.국내에도 건설 공장으로 지은 건물이 있다. 2011년 10월,
서울
안암동에 있는 고려대에서 국내 최초로 건설 공장이 철골 구조 공사를 전담한 지하 1층, 지상 7층짜리 ‘로봇융합관’이 준공됐다. 총 공사 기간이 30% 가량 줄었다.건설 공장의 핵심 장비는 지능형 ... ...
세상이 나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향해 ‘김주황, 29세, 과학동아 기자’라고 말했을 때 얼마나 당황스럽고, 심지어는 무
서울
까.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정보를 통해 날아오는 스팸 문자는 짜증과 불쾌감을 조성한다.이준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지원팀 책임연구원은 “스팸 문자를 단 한 번이라도 받았다면 본인이나 본인의 ... ...
서울
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원자핵공학은 핵반응에너지와 방사선 그리고 아원자입자(원자보다 작은 입자)를 활용해서 인간에게 편익을 주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한규 교수는 “핵반응에너지는 핵분열과 핵융합 반응에서 나오는데, 이 고밀도의 핵반응에너지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또 친환경적으로 이용하도록 만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미림여자정보과학고 ‘앱반’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라고 시를 썼다. 42년이 지난 지금, 누가 한국 IT의 미래를 묻거든
서울
대에서 오른쪽으로 고개를 조금 돌려 ‘미림여자정보과학고를 보라’고 말해도 되겠다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비행기를 타고 후쿠시마 공항에 도착했다.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지 하루 뒤에
서울
본사에서현장으로 급파됐다. 오전 일찍 항공기에 오를 때만 해도 쟁점은 ‘지진해일(쓰나미)’이었다. 센다이에 베이스캠프를 차리기 위해 폐쇄된 센다이 공항에서 가장 가까운 후쿠시마 공항으로 떠났다 ... ...
과학강국 스위스의 과학외교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씨의 강연 스위스에는 노벨상 수상자가 25명이나 되지요. 전체 인구(약 800만명)가
서울
인구보다도 적은 것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많은 숫자랍니다. 그위스에서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가 많은 비결은 본인이 하고 싶은 공부를 마음껏 할 수 있다는 거예요.또 재능 있는 외국인 학생과 과학자에게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