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다이아몬드에서 지구 맨틀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증거”라고 해석했다. 150~200km 깊이에서 만들어지는 일반 다이아몬드에서는 이런 광물이
발견
되지 않았다.연구팀은 “앞으로 거대 희귀 다이아몬드를 활용해 지구 내부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016년 12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같이 거친 표면을 만지는 느낌이나 피부를 탁탁 건드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자극 패턴도
발견
했다.타일러 교수의 연구 결과가 기대되는 이유는 또 있다. 손의 감각이 뇌로 전달되는 ‘언어’를 이해하면, 손의 각 부분을 자극할 수 있는 특수 장갑을 만들어 실제로 사물을 만지지 않고도 만지는 듯한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960년대까지 결정적인 증거들이
발견
되면서 빅뱅우주론은 성공 가도를 달리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몇 가지 치명적인 문제점들이 남아 있었다.먼저 ‘위상학적 결함 문제’라는 것이 있다. 물과 얼음의 상변화를 예로 들어 보자. 물은 3차원 공간에서 어느 방향으로나 대칭성을 띤다. 그러나 온도가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고, 1415m의 깊이에서 고맙게도 현무암(화성기원 암석)이
발견
되면서 1420m 깊이까지 시추를 진행한 뒤 종료했다.그러나 40km 떨어진 지점에서 진행한 두 번째 시추는 시추기 브레이크가 고장 나 일정이 많이 지연됐다. 시간상 기저암까지 시추하는 것은 무리고, 심해저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말했다. 한 사람이 잘 하지 못하면 새로운 것을
발견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또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동연구기는 하지만 각자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 쪽에서 어떤 상황이 일어나고 있는지 신속하게 알아야 빠르게 ... ...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
!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육식을 하는 두 발 공룡으로, 티라노사우루스와 벨로키랍토르 등이 속한답니다. 이번에
발견
된 꼬리의 주인공은 코엘루로사우리아(아래 그림)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어요.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조류의 직계 조상이 수각류 공룡일 것이라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어요. 캐나다 ...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전기가 들어온 지 올해로 딱 130년이 됐습니다. 400년 전 길버트가 처음으로 마찰전기를
발견
한 이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발명하고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도 전기가 들어오게 됐지요.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뒤 전등이 빛을 발했고,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으며 하늘에 전선도 여기저기 걸리기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은 과학의 여왕이고, 수론은 수학의 여왕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작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통계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규 분포를
발견
한 것도 가우스입니다. 1801년에는 ‘수론 연구’를 발표해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도 했죠. 수론을 수학의 여왕이라고 한 것을 보면 수론에 대한 사랑이 특히 남달랐던 것 같습니다.프랑스의 위대한 수학자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사파이어로 이루어진 구름이 대기를 덮고있는 행성이
발견
됐다.영국 워릭대 천체물리학그룹 데이비드 암스트롱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망원경을 이용해 ‘HAT-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양자역학적 원리(불확정성 원리. 운동량과 위치 정보가 비가환 대수의 관계에 놓임)가
발견
되면서 전자가 원자핵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계 반경이 정해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시공간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특이점으로 소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제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